이미지=과기정통부
이미지=과기정통부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인공지능(AI) 기술 국제표준화 회의에 참가한 우리나라 대표단이 인공지능 데이터·데이터 품질·신뢰성 및 산업 활용 등 전 영역에서 기술 논의를 선도하며, 이 분야 국제표준화 주도국 진입의 발판을 마련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과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4월 6일부터 21일까지 열린 ‘제5차 인공지능 국제표준화회의(ISO/IEC JTC1/SC42)’에 산‧학‧연‧관 전문가 33명이 참가했다.
 
이 회의에서 ▲인공지능 데이터 표준화를 위한 작업 범위를 확대하고 ▲머신러닝용 데이터 품질에 대한 신규프로젝트를 제안하였으며 ▲우리나라의 인공지능 기술 활용 사례를 국제표준문서에 반영하는 등의 성과를 거뒀다고 21일 밝혔다. 제5차 인공지능 국제표준화회의는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 회의로 개최됐다.
 
회의에서는 지난해 10월 우리나라가 주도해 신설된 인공지능 데이터 특별작업반의 연구결과를 공유하고 향후 국제표준화기구의 데이터 표준화 작업범위를 빅데이터 표준화에서 ‘인공지능 관련 산업에 활용 가능한 모든 데이터’로 확대해 표준화를 진행키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올해 10월 차기 회의까지 미국, 중국, 일본, 캐나다 등 인공지능 선도국들과 기존의 빅데이터 표준안과 함께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다양한 산업의 데이터 표준으로 확대한 인공지능 데이터 표준안 도출을 위한 신규프로젝트를 제안할 계획이다.
 
또한, 우리나라는 이번 회의에서 ‘인공지능 서비스 생태계’ 표준화를 추진할 자문작업반(Advisory Group) 신설도 제안해 인공지능 산업 전반에 걸쳐 국제표준을 주도해 나갈 계획이다.
 
통상 AI 서비스 개발자·제공자·수요자로 구성된 인공지능 서비스 생태계는 상호운용성과 관련된 표준이 사전에 확립되지 않을 경우, 시스템의 비효율은 물론 상호간 충돌로 인한 서비스 확장 제한 등의 예기치 못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공지능 서비스 생태계 표준화 자문작업반은 인공지능 산업 주체 간 데이터의 원활한 흐름과 새로운 서비스로의 확장 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 생태계 구성원들이 갖추어할 최소한의 요구사항에 대한 표준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한국 대표단은 이번 회의에서 머신러닝용 데이터 품질 기술을 새 사업으로 제안(ETRI 하수욱 책임)했다. 우리나라는 머신러닝용 데이터 품질 표준화 개념과 범위를 정의하는 등 국제표준화를 주도하고 미국과 독일 등이 품질검증 절차와 측정방법 작업에 함께 참여할 계획이다.
 
2014년 12월 우리나라가 제안한 빅데이터 참조구조(시스템 구축·연계시 공통적용되는 기술규격)의 생성에 대한 국제표준안은 이번 회의에서 논의를 마무리함에 따라, 이달 말 기술보고서(Technical Report)로 발간될 예정이다.
 
이 표준은 빅데이터를 사용하는 통신,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 공통 기술규격으로서 빅데이터의 상호 호환성을 보장하게 된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8건의 인공지능 활용사례를 기술보고서에 반영한 데 이어, 이번 회의에서 17건의 활용사례를 추가로 반영했다. 국내에서 개발한 자연어 질의응답, 챗봇, 질병 관리, 진단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의 인공지능 활용사례가 담겨 있어, 국내외 인공지능 서비스 확산에 기여할 전망이다.
 
이외에도 인공지능 기술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담보할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에 대한 신규 표준화의 필요성을 제시(서울시립대 이재호 교수)했다.
 
김정렬 국립전파연구원장과 이승우 국가기술표준원장은 “회의가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돼 여건이 좋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산·학·연·관이 협력해 인공지능 국제표준화 작업 범위를 확장해 신규 국제표준화 제안, 자문작업반 신설 추진 등 향후 우리 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에 교두보가 될 수 있는 성과를 거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