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과 핀테크 업체간 협력이 활발해지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금융권과 핀테크 업체간 협력이 활발해지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디지털투데이 고정훈 기자] IT와 금융의 경계가 허물어졌다. IT 기업들이 금융업에 진출해 가시적인 성과를 속속 내고 있으며, 그동안 IT 기업들의 공세에 수동적으로 맞서던 금융사들도 본격적으로 IT 사업에 뛰어들면서 보폭을 넓히고 있다. 금융 영역에 IT로 생색만 내던 수준을 뛰어 넘어 금융과 IT의 실질적인 융합, 진정한 핀테크 시대가 활짝 열린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그간 철옹성 같은 금융 규제로 전세계적인 핀테크 열풍의 변방에 머물렀으나 이제는 그 중심에 성큼 다가선 모양새다. 여기에는 금융당국의 적극적인 핀테크 육성 의지와 함게 자타 공인 세계 최고 수준의 IT 인프라가 한몫을 했다는 평가다. 다만 핀테크 강국 도약을 위해서는 보다 강력한 육성책과 함께 규제 완화에도 속도를 낼 필요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규제 개혁 속도로 핀테크 선진국 도약 과제

핀테크(FinTech)란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금융과 IT의 결합을 융합을 통한 금융서비스를 의미한다. 과거에는 ATM 기기나 인터넷뱅킹 등 금융권에서 IT기술을 활용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준에 머물렀지만, 최근에는 비금융사인 IT기업이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일어나는 혁신적인 변화를 뜻한다. 핀테크 발전은 금융 소비자들이 갈수록 편리성과 비용절감 등을 추구하기 시작하면서 불러온 변화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핀테크가 본격적으로 시작한 것은 2014년 무렵이다. 페이팔이 간편결제로 핀테크 산업의 첫 신호탄을 쏜 게 1998년임을 감안하면 상당히 늦은 출발인 셈이다.

출발은 늦었지만 추격은 거셌다. 간편결제를 시작으로 인터넷 전문은행이 도입됐다. 앱 하나로 모든 은행 계좌를 넘나드는 오픈뱅킹 서비스가 본격화됐고, 해외 송금이나 환전 등은 이미 은행의 전유 서비스가 아니다. 특히 데이터 3법(개인정보보호법·정보통신망법·신용정보법)이 개정되면서 금융권 전반으로 핀테크 열기가 고조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수많은 핀테크 스타업들이 탄생해 성장을 주도했다. 그리고 이제는 국내는 넘어 해외 시장까지 넘보고 있다.

이런 우리나라의 핀테크 저력에는 IT 기술이 있었다. 예나 지금이나 우리나라의 금융 IT 수준은 인터넷·모바일 인프라와 함께 자타가 공인하는 세계 최고다. 24시간, 실시간 전자금융 거래를 세계 최초로 시작했고 핀테크의 원조라 할 수 있는 온라인 전자결제 서비스를 세계에서 가장 먼저 제공한 것도 우리나라였다.

금융당국의 핀테크 활성화 의지도 한몫을 했다. 우리나라가 강력한 IT 인프라에도 핀테크 후발주자였던 가장 큰 이유는 금융 규제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해 말을 기점으로 핀테크 업체들의 발목을 잡아 온 거미줄 규제도 어느 정도 해소됐다. 핀테크 분야의 발전을 저해해 온 규제들이 금융규제 샌드박스 등을 통해 하나둘씩 풀린 것이다. 지난해 4월 금융규제 샌드박스는 시행 이후 100건 이상 지정되며 핀테크 업계의 폭발적인 관심을 모았다. 이에 금융위원회는 금융규제 샌드박스 전담팀 운영 기한을 2년 더 연장하고, 관련 인력을 보충하기로 결정했다.  

다만 아직까지 전문가들은 "핀테크가 좀 더 활성화하고 우리나라가 핀테크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금융당국의 보다 적극적인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며 한 목소리를 낸다. 핀테크 산업이 발전하는 속도에 비해 이를 해소할 수 있는 규제 개혁의 속도가 더디다는 것이다.   

한 핀테크 업계 관계자는 “핀테크 분야에서 스타트업을 포함해 핀테크 기업이 다양한 서비스 기획과 혁신이 가능하도록 규제 샌드박스를 더욱 확대하는 방향으로 검토되고 있어 기쁘다"면서도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해 현실적인 적용과 실제 서비스 구현이 가능한 샌드박스 지정이 되길 바란다. 금융사고 가능성 때문인 것은 알지만 아직까지 관련 속도가 빠르다고 보기는 어렵다.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다른 업계 관계자는 "규제 샌드박스는 2년 동안 한시적으로 관련 규제를 풀어주는 시스템이다. 향후 규제 개혁이 계속될 것이라는 메세지가 있어야 혁신서비스가 나올 것"이라며 "소비자의 효용이 검증된 서비스는 법규 개정을 통해 상시적으로 자리잡을 수 있는 체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내 주요 금융사 핀테크 랩 운영 현황 (자료=금융감독원)
국내 주요 금융사 핀테크 랩 운영 현황 (자료=금융감독원)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