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오전 부산 해운대구 한 도로에서 차량과 충돌해 박살난 '라임' 공유 전동 킥보드. 

12일 새벽 부산에서 공유 전동 킥보드를 타고 횡단보도를 건너던 남성이 차량과 충돌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공유 전동 킥보드가 보급되기 시작한 이후 교통사고로 인해 킥보드 운전자가 사망한 경우는 이번이 처음입니다.

이번 사고는 최근 한 조사업체가 발표한 소비자 인식조사에서도 여실히 드러난 것처럼 안전조치와 제도 정비가 미흡해서 빚어진 결과라는 지적입니다. 

최근 시장조사 전문기업 엠브레인은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한 퍼스널 모빌리티에 대한 소비자 인식조사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퍼스널 모빌리티 종류를 묻는 질문에 대해 89.2%(중복응답)가 전동킥보드라고 답해 많은 분들이 ‘퍼스널 모빌리티=전동킥보드'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평형이륜차(52.8%)와 전동휠(48.4%), 전기자전거(38.5%), 전동이륜보드(38.5%) 순이었습니다. 

응답자들은 전동킥보드가 앞으로 더욱 대중화되고(74.8%), 이용자가 늘어나고(77.7%), 시장규모가 성장(74.5%)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젊고(54.3%), 편리하며(44.6%), 활동적이고(41.3%), 트렌디하다(37.3%)고 답했습니다.

다른 교통수단과 비교해 편리하다는 인식(60.4%)과 함께 친환경 교통수단이라고 생각하는 비율(72.2%)도 높았습니다. 재이용 의향도 63.4%로 높은 수준입니다.

[ 향후 퍼스널 모빌리티 (재)이용 의향 (데이터 출처 : 엠브레인 웹사이트) ]
[ 향후 퍼스널 모빌리티 (재)이용 의향 (데이터 출처 : 엠브레인 웹사이트) ]

용도는 짧은 거리 이동(75.5%), 취미와 여가(39.7%), 출퇴근과 등하교(30.9%) 순으로  마이크로 모빌리티 이동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었습니다. 또 구입(32.2%) 보다 공유서비스를 이용(50.6%) 하겠다는 빈도가 높아 공유서비스의 정착 가능성도 엿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갑자기 튀어나오는 돌발 상황(76.6%), 인도와 차도를 번갈아 주행하는 위험(62.2%), 보호 장비 미착용 위험(41.3%) 등 안전에 대한 부정적 의견도 높고 사고 유발(44.1%), 불안(36%)에 대한 우려도 있었습니다. 아직까지 제도가 정착되지 못하고 교통정책 회색지대를 달리는 마이크로 모빌리티의 위상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지요.

현행법 상 퍼스널 모빌리티가 자동차 도로에서만 주행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있는 사람은 12.7% 뿐이어서 관련 제도 홍보가 미흡함을 보여줍니다.

주행공간에 대한 질문에는 자전거 도로에서 주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응답이 68%로 가장 많았고 지금처럼 자동차 도로에서만 운행을 허가해야 한다는 의견은 21.4%로 낮은 수준입니다.

안전사고의 방지를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규제방안은 보호 장비 착용의 의무화로 전체 10명 중 9명(90%)이 공감했습니다. 하지만 실제 이용경험자 11.9%만이 보호장비를 잘 갖춘다고 응답해 이상과 현실의 격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엄격한 속도 제한(86.7%)과 관련 보험상품의 가입 의무화(76.7%), 전용 면허증 보유 의무화(70.4%), 이용 나이 제한(69.2%)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지지를 받았습니다.

앞으로 가장 중요한 정책은 관련 법과 제도정비(59.7%) 보행자 보호정책 마련(54.9%), 이용시 안전 교육 강화(52.8%)을 꼽았습니다.

다음으로 주행 가능도로 확대(26.6%)를 꼽았고 우리나라가 안전하게 탈 수 있는 환경이라는 응답은 8.1%로 매우 낮아 위험에 대한 걱정이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퍼스널 모빌리티 관련 전반적 인식 평가 (데이터 출처 : 엠브레인 웹사이트) ]
[ 퍼스널 모빌리티 관련 전반적 인식 평가 (데이터 출처 : 엠브레인 웹사이트) ]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