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정유림 기자] 지자체들이 캐시백 혜택 확대에 이어 긴급재난지원금을 지역화폐로도 제공하기로 하면서 지역화폐가 주목받고 있다.

지역화폐는 그간 사용하기 불편하고 활용처가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하지만 각 지자체가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지역 경제 활성화 일환으로 지역화폐 알리기와 활용 제고에 힘을 실으면서 지역화폐가 활성화 계기를 맞고 있다.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긴급재난지원금 신청을 받기 시작한 서울특별시는 지역화폐로도 지원금을 제공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오는 5월 15일까지 긴급재난지원금 신청을 받으며 지역화폐(서울사랑상품권)로 받을 시 10% 혜택을 추가로 준다. 이를 위해 한국간편결제진흥원이 지급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다.

인천시도 긴급재난지원금을 지역화폐 ‘인천e음’으로도 지급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앞서 인천시는 지난달부터 이번달까지 두달간 소비 진작을 위해 지역화폐 캐시백 혜택 요율을 늘렸다. 인천시는 월 30만원 결제시 결제액의 4%, 30~50만원은 2%, 50~100만원은 1%를 캐시백으로 제공했다. 그 결과 2월과 비교해 3월 결제액 규모는 64%가 늘었다.

부산시도 지역화폐 동백전의 캐시백 혜택을 3월에 이어 이번 달까지 연장했다. 월 100만원 결제시 캐시백 10%를 제공하는 것이 골자다. 

부산시는 지난해 동백전 서비스를 출시한 후 캐시백 효과 등에 힘입어 신규 가입자가 매일 7000~8000명 수준, 결제 규모도 매일 50억원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가입자 수는 4월 현재 57만명(3월 기준 부산시 인구 340만9932명)이다. 부산시는 긴급재난지원금을 동백전으로 지급하는 방안 역시 고려하고 있다.

인천시 인천e음 카드(왼쪽)와 부산시 동백전

앞서 서울시도 시중에서 15% 할인된 가격에 서울사랑상품권을 구매할 수 있게 한데 이어 실제 결제시 5%의 캐시백 혜택을 제공하는 이벤트를 진행했다. 결과적으로 20%가 할인되는 혜택으로 500억원을 완판시켰으며 800억원을 추가 판매키로 했다.

이런 캐시백 혜택에 긴급재난지원금을 지역화폐로도 지급하기로 하면서 지역화폐 구매, 애플리케이션(앱) 사용 방법 등에 연일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여기에는 6월까지 지역화폐 소득공제혜택이 기존 30%에서 60%로 늘어난 것도 한몫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일각에선 지역화폐만으로 지역 경제를 살리기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캐시백 혜택 등으로 기존에 안 쓰던 사람들이 지역화폐를 쓰게 되는 효과는 있겠지만 소비 패턴의 변화를 간과해서는 안되기 때문에 지역화폐가 지역 경제 활성화의 만병통치약이라고만 생각해선 안된다”고 했다. 

캐시백 혜택은 예산 문제로 앞으로도 지금과 같은 수준을 이어갈지 미지수다. 이번에 캐시백 혜택을 늘릴 수 있었던 건 지역화폐 주관부처인 행정안전부에서 예산을 편성했기 때문이다. 이에 단기적인 부양책 외에 장기적으로 관련 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단기적으로는 캐시백이 성공 요인 중 하나로 꼽히지만 캐시백만으로 운영할 수 없다는 점 또한 인지하고 있다”며 “캐시백 외에 가맹점 차원에서 할인이 가능하도록 확대하는 등 비(非) 캐시백 정책들도 마련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캐시백 정책이 아니라도 편의성을 제고해 이용이 확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관건”이라며 “개인 가입자 기반을 갖추면서도 법인이 직원들에 각종 수당을 동백전으로 나눠줄 수 있도록 하는 여러 방안들을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