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연구원이 공지한 무관객 세미나 내용  출처: 금융연구원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확산하면서 금융권의 각종 행사와 프로그램 운영이 차질을 빚고 있다. 금융회사의 가장 중요한 행사 중 하나인 최고경영자(CEO) 취임식이 사라지고 있으며, 무관객 세미나가 열리고 있다. 또 각 은행들이 운영하는 박물관, 갤러리가 문을 닫고 금융교육 일정도 미뤄지고 있다.

27일 금융권 관계자들에 따르면 금융연구원은 3월 31일과 4월 2일 세미나를 개최하는데 무관객, 비공개로 진행할 예정이다. 세미나 내용은 향후 영상 콘텐츠로 제공하기로 했다.

금융연구원은 이달 31일 ‘제로금리 시대, 어디로 갈 것인가?’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 행사에서는 송민규 금융연구원 자본시장연구실장이 저금리 시대의 리스크와 대응과제에 대해 발표한다. 이후 신성환 홍익대 교수를 좌장으로 김재현 상명대 교수, 박용명 한화자산운용 부문장, 정중호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소장, 하준경 한양대 교수, 함준호 연세대 교수 등이 토론을 진행한다. 이 내용은 4월 8일 이후 영상 콘텐츠로 제공된다.

이어 금융연구원은 4월 2일 ‘글로벌 고위험, 고수익 투자 확대의 리스크와 정책대응’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한다. 김현태 금융연구원 국제금융연구실 연구위원이 발표한다. 이후 송치영 국민대 교수를 좌장으로 김소영 서울대 교수,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상무, 박석길 JP모건 본부장, 서경란 IBK경제연구소 부장, 정형민 국제금융센터 본부장, 채희율 경기대 교수이 토론한다. 이 세미나 역시 비공개로 열리고 4월 14일 이후 영상 콘텐츠로 제공된다.

금융연구원 관계자는 “코로나19 여파로 사람이 모이는 행사를 하기 어렵다”며 “세미나 자료와 영상은 금융연구원 홈페이지에 공개할 방침이다”고 말했다.

금융연구원은 2019년 13건, 2018년 18건의 세미나, 심포지엄, 포럼 등 행사를 개최했다. 이들 행사는 모두 실제 현장 행사로 열렸다.

그러나 올해 금융연구원은 1월 29일 금융그룹감독제도 향후 추진방향 세미나를 개최한 이후 행사을 열지 못했다. 이에 급기야 비공개로 세미나를 진행한 후 동영상을 공개하는 방식을 도입한 것이다. 코로나19가 진정되지 않으면 금융연구원은 이런 방식으로 세미나를 계속 개최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구은행은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1월 30일 금융박물관 운영을 중단했다.  출처: 대구은행

코로나19는 금융권 곳곳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지난 25일 취임한 권광석 신임 우리은행장은 취임식을 생략했다. 26일 취임한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과 손병환 NH농협은행장도 취임식을 열지 않았다. 코로나19 확산 우려 때문이다.

금융지주, 은행의 CEO 취임식은 그동안 해당 금융사 주요 관계자들이 모두 모이는 자리였다. CEO가 주요 관계자들과 인사하고 단결을 호소하는 자리로 중요 행사 중 하나다.

그런가 하면 금융 교육도 중단되고 있으며 박물관, 갤러리는 문을 닫았다. 지난 2월 10일 금융감독원 금융교육센터는 올해 상반기 ‘금융교육 전문강사 양성  1일 연수’를 연기한다고 밝혔다. 코로나19가 진정돼야 연수를 진행할 수 있어 언제 열릴지는 미지수다.

또 3월 4일 금융교육센터는 FSS금융아카데미 기초과정을 잠정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당초 3월말부터 개시 예정이었던 과정을 잠정 중단한 것이다. 사실상 올해 상반기 중 금융감독원의 금융교육이 예전처럼 진행될 수 있을지 여부는 알 수 없다. 

한국은행이 운영하는 화폐박물관은 2월 4일부터, 한국조폐공사가 운영하는 화폐박물관은 2월 25일부터 휴관 중이다. 코로나19 확산으로 큰 피해를 당한 대구지역의 대구은행의 경우 1월 30일부터 금융박물관 운영을 중지했다.

신한은행이 운영하던 신한갤러리도 코로나19 확산으로 3월 4일부터 휴관에 들어갔다. 신한갤러리에서 이뤄지던 교육, 강좌도 모두 중단됐다. 우리은행도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은행사박물관을 2월 24일부터 휴관하도록 했다.

금융권은 정부가 4월 5일까지 사회적 거리두기를 요청하고 있는 만큼, 최소한 그때까지는 이같은 상황이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를 더 연장할 경우 파행적 운영은 더 길어질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