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인공지능(AI) 뮤직 서비스 바이브(VIBE) 홈페이지 갈무리

[디지털투데이 정유림 기자] 음원 시장이 네이버가 최근 발표한 음원 이용료 정산 방식 변화에 주목하고 있다. 그간 국내 음원 사이트는 전체 음원 재생 수에서 특정 음원의 재생 수가 차지하는 비중을 계산해 음원 사용료를 정산하는 ‘비례 배분제’를 채택해 왔는데 네이버가 최근 이용자가 낸 스트리밍 요금이 실제로 들은 음악의 저작권자에게 가게끔 방식을 전환하겠다고 발표했기 때문이다.

네이버는 올 상반기 중으로 이같은 방식을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업계 이해 당사자간 협의를 이제 막 시작한 단계인 데다 시스템 구축도 병행해야 해 과제가 산적해 있다는 평가다.

네이버는 최근 자사 인공지능(AI) 뮤직 서비스 바이브(VIBE)에 새로운 음원 사용료 정산 시스템인 ‘바이브 페이먼트 시스템(VPS)’을 올 상반기 중 도입한다고 밝혔다. 

기존 비례 배분제는 이용자가 낸 음원 사용료를 모아 재생 횟수 비중에 따라 가수, 작곡가, 음원 제작사 등 저작권자와 저작인접권자 등에 나누는 방식이다. 플랫폼 입장에선 재생된 수에 비례해 음원 사용료를 한꺼번에 정산할 수 있어 합리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비례 배분제로는 차트 상위권을 차지하는 일부 인기 음원에 수익이 몰려 상대적으로 대중적이지 않은 인디 밴드 음악 등에 수익이 돌아가지 못하는 문제가 꾸준히 제기된 바 있다. 

여기에 네이버의 바이브는 AI 추천 엔진을 통해 이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는 음악과 아티스트를 접하도록 하고 있어 정산 방식 또한 이에 맞춰 변화를 줄 필요가 있다고 보고 이같은 행보를 보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음원 스트리밍 사이트의 사용료 정산은 음원 전송사용료 징수 규정에 따라 이뤄지고 있다. 이 징수 규정은 권고 사항이지만 음악 분야 신탁관리단체가 협의한 내용을 문화체육관광부가 승인하는 방식이다.

결론적으로 네이버가 새 음원 수익 방식을 도입하려면 한국음악저작권협회 등 신탁관리단체를 비롯해 음반 유통사 등 업계 이해 당사자와도 협의를 거쳐야 하는데 이것이 만만치 않은 작업이라는 것이다.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는 “네이버가 유관 기관과의 협의를 거친 후 한국저작권위원회에서 관련 내용을 검토한 뒤에 승인을 하는 방식”이라며 “시간이 얼마나 걸릴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많게는 수개월이 소요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유사 서비스를 제공 중인 다른 업체들은 상황을 지켜본다는 입장이다. 한 음원 스트리밍 업체 관계자는 “일단은 업계에서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어 이를 주시하고 있기는 하다”며 “실제 도입 여부에 대해서는 현재 상황에서 이야기하기 어렵지만 내부적으로도 권리자의 권익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계속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선 네이버가 도입하려는 시스템이 실효성이 있는지에 대한 지적도 내놨다. 네이버가 추진하려는 대로 실제 아티스트에게 음원 사용료가 정산이 되는지 데이터가 아직까진 부족하다는 것이 그 이유다.

이와 관련해 네이버 관계자는 “징수 규정이 권고사항이기도 해 문제가 될 만한 사항은 없다고 보고 신탁단체와의 협의에 앞서 유통사와의 협의를 진행 중”이라며 “데이터와 관련해서도 당연히 내부적으로 시뮬레이션을 거쳐 진행한 상황이기 때문에 모쪼록 새 시스템이 상반기 중 도입이 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