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식세포와 거품세포의 2차원·3차원 이미지(자료=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대식세포와 거품세포의 2차원·3차원 이미지
(자료=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은 이성수 박사 연구팀과 중앙대 박경순 교수 연구팀이 면역세포에 쌓인 지방의 양을 인공지능(AI)으로 분석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세포에 침투하는 염색약을 이용해 세포 내 물질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이 있지만, 화학물질인 염색약이 세포에 미칠 유해성 우려가 제기돼 왔다. 이에 연구팀은 인공지능에 기반한 홀로그래피 기술(시료에서 빛의 분포를 분석하는 기술)을 활용해 염색약을 전처리할 필요 없이 살아있는 세포의 내부 물질을 정량화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인공지능으로 세포를 식별해 세포의 빛에 대한 굴절률, 부피, 세포 내 지질 방울 개수 등을 측정하는 기술이다.

동맥 내 면역세포의 일종인 대식세포에 지방이 과도하게 쌓이면 거품세포로 분화하는데, 이렇게 만들어진 거품세포는 혈관 내 만성 염증을 유발하는 동맥경화의 원인이 된다.

연구팀은 단일 세포 수준에서 대식세포가 지방에 의해 거품세포로 분화하는 과정을 홀로그래피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또 거품세포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나노입자 크기의 표적 약물을 개발, 콜레스테롤을 배출하도록 해 대식세포에 지질 방울이 과도하게 축적되는 것을 막는 실험도 진행했다.

이성수 박사는 "지방 과다 섭취로 인한 퇴행성 질환을 치료하는 표적 나노 약물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ACS 나노'에 25일자로 실렸다.    

ACS 나노 표지 이미지(자료=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ACS 나노 표지 이미지
(사진=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