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록물 관리를 총괄하는 국가기록원이 블록체인 트랜잭션과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한 기록관리 적용방안 연구를 진행하고 연구를 맡을 전담자를 찾는다.

[디지털투데이 정유림 기자] 공공기록물 관리를 총괄하는 국가기록원이 블록체인 트랜잭션과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한 기록관리 적용방안 연구를 맡을 전담자를 찾는다.

21일 조달청 나라장터에 따르면 국가기록원은 ‘블록체인 트랜잭션과 스마트 컨트랙트 활용 기록관리 적용방안 연구’ 공고를 내고 관련 연구를 맡을 용역업체를 선정한다고 밝혔다. 연구 예산 규모는 1억7000만원이며 연구 기간은 오는 11월 30일까지다.

국가기록원은 “디지털 환경에서 전자기록물의 폭증과 기술적 한계로 기록물의 진본성과 무결성을 보장하는 업무가 지연되고 있는데 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자 이번 연구를 진행하게 됐다”고 밝혔다.

앞서 국가기록원은 지난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주관한 2019년 블록체인 공공선도 시범사업에 12대 과제 중 하나로 선정돼 ‘신뢰기반 기록관리 플랫폼’을 구축한 바 있다. 

국가기록원 관계자는 “국가기록원은 중앙부처, 지자체 등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기록물을 이관 받아 관리하는데 지난해 구축한 플랫폼과 연계해서 국가기록 관리에 블록체인 기술을 얼마나 활용할 수 있는지 등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국가기록원은 크게 4가지 분야의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우선 시청각 기록의 진본성 보장을 위한 블록체인 기술 검증과 구현을 추진한다. 국가기록원의 시청각 기록관리시스템(MAM)과 지난해 구축한 블록체인 기록관리 플랫폼을 연계해 시청각기록 관리, 처리 행위를 블록체인 상에 저장하는 방안을 연구한다.

종이 문서 등 비전자기록물의 진본성 보장을 위한 블록체인 기술 검증도 진행한다. 국가기록원에서는 비전자기록물마다 무선 주파수 인식 시스템(RFID)을 발급해 관리하고 있는데 이를 토큰화해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할 예정이다.

이밖에 중앙영구기록관리시스템(CAMS) 업무 유형에 따른 블록체인 트랜잭션 데이터를 그래프 정보 등으로 시각화하는 방안,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한 기록관리 자동화 방안도 연구할 계획이다.

국가기록원은 지난해 구축한 블록체인 기록관리 플랫폼을 활용함으로써 예산 절감과 연구효율성 강화 등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