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개인의 신용등급에 따라 주택담보대출의 대출금리가 다르게 적용될 예정이다. (사진=픽사베이)
앞으로 개인의 신용등급에 따라 주택담보대출의 대출금리가 다르게 적용될 예정이다. (사진=픽사베이)

 

[디지털투데이 고정훈 기자] 개인의 신용등급에 따라 주택담보대출의 금리를 다르게 적용하는 은행이 늘고 있다. 신용등급이 높으면 기존보다 대출금리가 낮아질 수 있지만 신용등급이 낮으면 금리가 올라갈 수 있다. 변화된 대출금리가 은행권 수익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과 KB국민은행, 하나은행, NH농협은행 등이 주택담보대출에 개인의 신용등급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한은행의 경우 지난해 말 주택담보대출에 개인 신용등급 반영을 마쳤다. 은행이 자체적으로 평가한 고객의 신용등급을 기준으로, 적용금리가 달라지는 산출금리 방식이다. 이 기준에 따르면 최고신용등급과 최저등급간 주택담보대출 금리 차이는 최대 0.04p 정도다. 신용등급 우수 여부에 따라 기존 대출금리보다 다소 낮아지고, 반대로 저신용등급자는 올라간다.

국민은행과 하나은행, 농협은행도 신용등급에 따라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다르게 적용하고 있다. 현재 국민은행은 자체 산출한 신용등급을 기준으로 1~6등급과 7~D등급의 금리를 다르게 적용 중이다. 아파트 담보대출 기준으로 최고등급과 최저등급간에는 0.25p 금리 차이가 난다.

비슷한 방식으로 하나은행도 차등 금리 적용을 도입한 상태다. 양 등급간 금리 차이는 0.40%p다. NH농협은행도 신용등급별 금리를 다르게 적용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은행은 4월까지 고객 신용등급에 따라 금리를 다르게 적용하는 방안을 시행하기 위해 현재 관련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같은 은행들의 행보는 금융당국의 지적에 따른 것이다. 지난해 금융당국은 대출금리 가산금리 산정체계와 관련, 차주별 위험이 금리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고 지적한 바 있다. 가산금리의 산정이 투명하고 합의적으로 산출되지 않고 있다는 의미다.

그동안 아파트를 담보로 한 주택담보대출은 예상 손실률이 낮고, 담보가 확실하다는 이유로 신용등급별로 차등을 두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만약 고객이 대출을 상환하지 못한다면 담보물을 처분하면 원금 회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주택담보대출 금리 방식이 바뀌면서 올해 은행 수익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주택담보대출 이자는 은행의 주요 수익이기 때문이다. 현재 주택담보대출를 대안할 상품으로는 전세대출이 꼽힌다. 지난 1월 기준 5대 시중은행의 전세자금대출 잔액은 82조7533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2월 81조3058억원보다 1.78%(1조4475억원) 늘어난 수치다. 올해 시중은행들이 실적발표 콘퍼런스콜 등을 통해 전세자금대출을 확대할 계획을 밝힌 만큼 당분간 이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정부가 주택시장과 관련돼 지속적인 규제 방침을 밝힌만큼 이 기조는 올해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대출은 줄어들고 상대적으로 예금 수요는 늘어나고 있는만큼 올해 은행권은 기존 전세대출과 채권 투자, 해외 진출 등을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은 지난 1월 16년만에 최대 증가폭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의 '2020년 1월 중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말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은 전달보다 4조3000억원 증가했다.

금융권에서는 아직 정부의 12.16 부동산 정책이 반영되지 않은 결과로 분석했다. 당장 덩치가 커지긴 했으나, 아직 정책이 반영되기까지 시간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한은 관계자 역시 "주택매매 계약 후 자금 수요까지 2개월 안팎의 시차가 있다. 대책의 효과가 점차 나타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