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박인성 인턴기자] 울산과학기술원(UNIST) 디자인·인간공학부 정연우 교수팀이 '독일 iF디자인어워드 2020' 프로페셔널 콘셉트 부분에서 '911$ 응급구조 드론'으로 본상을 수상했다.

응급구조 드론은 8개의 프로펠러가 달린 들것이다. 유선으로 연결된 배터리팩을 동력원으로 한다.(사진=정연우 교수팀 제공)
응급구조 드론은 8개의 프로펠러가 달린 들것이다. 유선으로 연결된 배터리팩을 동력원으로 한다.(사진=UNIST)

정 교수팀이 디자인한 응급구조 드론은 쉽게 말해 '떠다니는 들것'이다. 환자가 누울 수 있는 들것에 8개의 프로펠러와 유선 배터리팩이 연결된 형태로, 지상에서 1m 상공에 들것을 띄워 이동할 수 있도록 디자인했다. 들것에 설치된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해 수평을 유지하고, 구조대원이 배낭처럼 멘 배터리팩과 연결된 선을 따라 이동하는 '팔로우 미'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교체 가능한 배터리를 외부에 배치해 들것의 무게를 줄이고 체공 시간을 늘린 것이 특징이다.

배터리를 유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은 들것을 더 가볍게 하며, 지속적으로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어 더 오랜 시간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와 연결된 선을 따라 이동하는 방식을 채택하면 별도의 드론 조종 없이도 이동이 가능하다.(사진=UNIST)
배터리를 유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은 들것을 더 가볍게 하며, 지속적으로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어 더 오랜 시간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와 연결된 선을 따라 이동하는 방식을 채택하면 별도의 드론 조종 없이도 이동이 가능하다.(사진=UNIST)

정 교수팀은 911$ 응급구조 드론의 실제 양산을 위한 프로젝트도 추진하고 있다. 정 교수팀은 드론 제작업체인 '드론 돔'과 함께 실제 장동방식과 구조를 고려한 양산 설계과정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전 세계로 응급구조 드론을 보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차진희 연구원은 “현재 산악사고가 발생하면 환자 1명을 구조하기 위해 4명 이상의 구조대원이 투입되며, 들것을 활용한 불안정한 하산과정은 환자의 상태를 악화시키는 경우도 있다”며 “응급구조 드론을 활용하는 방법으로 비효율적이고 불안정한 구조방식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정연우 교수팀. 왼쪽부터 구교휘, 차진희 연구원, 정연우 교수, 한가을, 장우인 연구원(사진=UNIST)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정연우 교수팀. 왼쪽부터 구교휘, 차진희 연구원, 정연우 교수, 한가을, 장우인 연구원(사진=UNIST)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