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정부가 세계 최초 5G 상용화에 이어 1등 5G 국가 도약을 목표로 내건 가운데, 올해 5G 가입자 수가 1500만명을 넘어서며 LTE 신화를 넘어설 수 있을 지가 관전포인트로 부상했다.

5G 가입자는 지난해 12월 14일 기준 약 450만명을 돌파했고, 올해 초 500만명을 넘길 것으로 보인다. 다만 증가세는 한풀 꺾였다. 5G 상용화를 시작한 지난해 4월 이후 5G 가입자는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였으나 11월 들어 가입자 증가율이 한 자릿수로 떨어졌다. 이에 올해 5G 가입자가 어느 정도 증가할지 주목된다. LTE의 경우 3G에 비해 빠른 속도를 장점으로 상용화 1년 반만에 가입자 1500만명을 돌파했다.

2일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5G 가입자는 지난해 12월 14일 기준 449만명이다. 11월 말로 보면 5G 가입자는 435만5176명이다. 11월은 10월 398만2832명보다 9.3%(약 37만2000명) 증가했다. 5G 상용화를 시작한 지 한 달 만인 지난해 5월 가입자는 78만4215명으로 4월인 27만1686명보다 188%에 달하는 증가 폭을 보였다. 이후 6월 70.4%, 7월 43%로 가입자 증가율이 점점 줄었고, 8월 46.1%로 소폭 늘어났다가 9월 24%, 10월 14.8%로 가입자 증가율은 계속 줄어들고 있다.
 
5G 상용화 초기 가입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났던 이유는 5G 고가 프리미엄 스마트폰의 공짜 마케팅 때문이다. 갤럭시S10 5G, V50 등이 사실상 공짜로 시장에 풀렸고, 이통사들이 불법 보조금과 과다한 마케팅비를 쏟아붓는 대신 이용자들이 고가의 5G 요금제를 가입하도록 했다. 이통사들의 경우 무선 ARPU(가입자당평균매출)가 소폭 올랐지만, 과도한 마케팅비 사용으로 수익이 모두 하락했다. 결국 올해 하반기는 상반기에 비해 마케팅비를 아낄 수밖에 없었고, 이는 가입자 증가율이 둔화되는 결과로 이어지게 됐다. 5G 상용화 초기에만 해도 2020년 5G 가입자 1500만명 달성이 무난해 보였지만 현재로서는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지난 11월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메리어트파크센터에서 열린 이동통신3사 CEO 간담회 에 참석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 황창규 KT 회장,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박정호 SK텔레콤 사장 (사진=과기정통부)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지난 11월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메리어트파크센터에서 열린 이동통신3사 CEO 간담회 에 참석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 황창규 KT 회장,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박정호 SK텔레콤 사장 (사진=과기정통부)

5G 중저가 요금제 출시하라는 정부 vs 시기상조라는 이통3사

정부는 3만원~4만원대의 5G 중저가 요금제 출시를 이통사에게 요청하고 있다. 5G 중저가 요금제가 출시되면 소비자 선택권이 넓어지며, 5G 가입자를 더 많이 끌어 모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통사의 수익 저하로 작년과 같은 마케팅 비용 지출이 불가능한 이상, 5G 가입자 유치를 위한 하나의 해법이 중저가 요금제 가입자 유치라고 보는 것이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지난 11월, 이통3사 CEO와의 간담회를 추진해 이를 직접 요청하기도 했다. 이통 3사는 당장은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표했지만 아직 이르다는 입장이다.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은 “아직은 5G 가입자가 부족하고 망 구축에 많은 돈이 들어가 (5G 중저가 요금제 출시는) 시기상조”라며 “보편적인 서비스로 거듭나야 가능하다”고 기자들에게 언급했다. 이통사 측은 보편적 서비스 기준으로 가입자 최소 1000만명을 생각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통신이용제도과 관계자는 “5G 서비스가 상용화되면서 이통사의 업셀링으로 인해 통신비가 올라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며 “정부는 올해 안에 5G 중저가 요금제가 출시되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최남곤 유안타증권 애널리스트는 “5G 요금제는 5만5000원~10만원 수준에서 분포돼 있다. 대부분의 고객은 8만원 이상의 무제한데이터 기반 요금제를 가입하기 때문에, 5G 고객의 ARPU는 6만원대로 추정(선택 약정에 따른 25% 할인 가정)된다. 현 요금제가 유지될 것으로 가정하면, 5G 고객 비중이 확대되면 ARPU가 상승할 수 밖에 없다”며 “올해 하반기 기준 5G 비중이 20~25%으로 상승할 경우, ARPU 상승률은 작년 3분기 대비 약 10%에 도달하게 된다. 다만 이러한 가정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5G 요금제(5만5000원~ 10만원)가 유지돼야 한다는 전제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5G 가입자 유치, 중요한 것은 스마트폰 경쟁력...갤럭시S11·5G 아이폰이 변수
 
5G 가입자 유치를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요금제가 아니라 경쟁력 있는 단말(스마트폰) 출시가 가장 중요하다는 분석도 있다. 이용자들이 스마트폰을 보고 새로운 서비스(5G)에 가입하지, 요금제는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올해 상반기에 출시될 갤럭시S11이나 올해 하반기에 나올 예정인 5G 아이폰이 다른 스마트폰에 비해 차별점을 갖고 출시될 경우 5G 가입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이라는 설명이다.
 
5G 초기 스마트폰이었던 갤럭시S10 5G나 V50의 경우 갤럭시S10 LTE 등에 비해 차별화가 이뤄지지 못해 이통사들이 과다 리베이트(판매장려금)을 살포할 수 밖에 없었지만 이들 스마트폰이 경쟁력을 가졌다면 그럴 필요가 없었다는 해석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LTE 초기 때도 보면 가입자들이 새로운 서비스 가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바로 프리미엄 스마트폰”이라며 “경쟁력 있는 5G 스마트폰이 나올 경우 5G 가입자가 늘어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통신 업계 관계자는 “갤럭시노트10이 국내에서 5G 모델로만 나온 것은 제조사인 삼성전자, 이통사, 정부가 모두 원한 것이다. 정부 입장에서는 프리미엄 스마트폰이 5G로만 나오는 것을 싫어할 이유가 없다”며 “5G 상용화 초기 불법보조금이 시장에서 무차별적으로 나올 때 시장 모니터링이나 단속을 하지 않은 것도 정부였다”라고 주장했다. 
 
이미지=ETRI (이미지 편집=백연식 기자)
이미지=ETRI (이미지 편집=백연식 기자)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