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유다정 기자] 끝나지 않은 인터넷 시대. IT공룡들의 합종연횡이 시작된다. 네이버가 라인을 필두로 글로벌로 확장일로를 걷는 가운데, 카카오 또한 SK텔레콤과 시너지를 통한 국내 점유율 확대가 기대된다.

최근 라인과 야후재팬 경영합이 공식화됐다. 라인과 Z홀딩스의 모회사인 네이버와 소프트뱅크 주식회사가 50:50으로 조인트벤처(JV, Joint Venture)를 만들어 Z홀딩스의 공동 최대 주주가 된다. 이데자와 다케시 라인 대표와 가와베 켄타로 Z홀딩스 대표가 통합회사의 공동대표가 될 예정이다. 신중호 라인 공동 대표는 Z홀딩스의 CPO(Chief Product Officer)를 맡게 된다. 일본 최대의 포털과 메신저 사업자가 합쳐지기 때문에, 합병 과정은 1년은 족히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Z홀딩스는 ▲메신저 플랫폼인 라인, ▲포털인 야후재팬, ▲커머스 플랫폼인 야후쇼핑과 조조, ▲금융서비스인 재팬넷뱅크 등을 산하에 두게 된다. 

업계서는 일본에서만 1억여명의 사용자를 확보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라인의 8,200만명의 사용자 기반을 가진 커뮤니케이션 플랫폼과 ZHD/야후의 e-커머스 서비스(야후쇼핑·PayPay 몰·PayPay 프리마·야후오쿠!·ZOZOTOWN·야후트라벨·일휴.com 등)가 연계된다. 이데자와 다케시와 라인 대표는 "우리는 사람들이 라인을 갖고 뭐든지 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모바일을 통한 캐시리스(cashless) 시대의 새로운 사용자 경험, 이것이 회사측이 밝힌 경영합 이유 중 하나다. 

네이버가 구상 중인 글로벌 AI 연구 벨트(이미지=네이버)
네이버가 구상 중인 글로벌 AI 연구 벨트(이미지=네이버)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AI' 

한편에서는 라인에게 '왜 성장이 둔화되는 PC사업자와 합치는지'를 묻는다.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은 "앞으로 한국이 집중해야 할 것은 첫째도 인공지능, 둘째도 인공지능, 셋째도 인공지능"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미국 'GAFA'(구글, 애플, 페이스북, 아마존)와 중국 'BATH'(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 화웨이) 등 거대 글로벌 IT 기업들과 벌어지는 기술 격차에 대한 위기감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미 네이버는 '글로벌 AI 연구 벨트'를 발표한 바 있다. 한국과 일본 그리고 네이버의 핵심 AI 연구소가 위치한 프랑스, 세계 10위 안에 드는 개발자 규모를 갖춘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구축되는 네이버 중심의 기술 연구 네트워크다. 

두 회사는 AI를 중심으로 매년 1000억엔(약 1조원) 규모를 투자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디어·콘텐츠·이커머스·핀테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너지를 내겠다는 청사진도 발표했다. 2만여명의 양사가 원팀이 되어 일본, 아시아에서 세계를 선도하는 AI 기술 기업이 되겠다는 포부다. 

역대급 빅딜이지만, 국내 생태계에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라인에 공격적인 투자로 실적이 부진했던 네이버가 한시름 놓은 정도다. 네이버는 11월 분사한 네이버 파이낸셜의 안정화에 속도를 내 국내 금융 플랫폼 기반을 다질 전망이다. 

국내선 카카오-SKT의 맹추격

국내선 카카오가 점유율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통신사업자 SK텔레콤과 3000억원 규모의 지분을 교환하고,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면서다. 단일 영역에서의 MOU 체결과 달리 이번 협력은 지분 교환이 수반돼, 보다 전방위적인 파트너십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사업 및 서비스뿐 아니라 R&D 협력까지 망라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특히 콘텐츠 부문에서는 글로벌로도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카카오는 보고 있다.

한 인터넷 업계 관계자는 "각 분야 사업자들이 사업을 확장하는 '빅블러' 상태에서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돌파구를 위한 합종연횡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종사자는 "아직까지 구체적인 안은 나오지 않아 전망하긴 조심스럽다"면서도, "당분간은 엄청난 서비스, 킬러 콘텐츠가 나오기 보다는 기업 간, 혹은 스타트업까지 합쳐진 서비스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초점이 맞춰질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