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전반에 공유경제의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다. 공유경제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의해 함께 사용하는 경제활동을 일컫는다.

공유경제의 확산과 맞물려 일정액을 내고 원하는 기간 빌려 쓰는 렌털 서비스도 나날이 몸집을 키우고 있다. 실제 온라인 쇼핑몰 G마켓에 따르면 올해 렌털 시장은 5년전과 비교하면 5배 가까이 커졌다.

과거 정수기와 안마의자 등 일부 제품에 불과했던 렌털 제품도 최근들어 스타일러(의류관리기)와 TV, 에어컨 등 대형가전에서부터 가구나 애완용품까지 범위가 점점 넓어지는 추세다.

수백만원을 호가하는 대형 가전도 단돈 몇만원에 이용할 수 있기에 너도나도 렌털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가전업체들도 '렌털=공유경제'라는 공식을 들이대며 소비를 부추기고 있다.

한 렌털업계 관계자는 "젊은층을 중심으로 공유경제에 대한 인식이 널리 퍼지면서 렌탈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웅진코웨이 사옥. (사진=신민경 기자)
웅진코웨이 사옥. (사진=신민경 기자)

그러나 렌털 서비스를 사회·경제·환경적 가치를 높이는 경제활동인 공유경제의 일환으로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어 보인다. 차량을 공유하는 카셰어링(car sharing)과 공유 주방, 공유 오피시 등과는 분명 거리가 있다. 단지 거액의 돈을 한꺼번에 지불하지 않아도 돼 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다는 측면만 비슷할 뿐이다.

렌털 서비스는 정기적으로 관리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을 빼면 할부의 다른 이름이다. '아무리 포장을 잘 하더라'도 미리 당겨서 소비를 하는 것에 불과하다.

중도에 해지하면 납부한 렌털비를 제외한 기계값 전체를 해약금으로 내야 한다. 자칫 소비자를 '빚의 수렁'으로 내몰 수 있다는 얘기다. 그런만큼 소비자 본인이 재산과 소득을 감안해 렌털 서비스를 이용해야 한다. 

'가을 빚에 소도 잡아먹는다'란 속담이 있다. 뒤로 미룰 수 있는 일이라면 타산이 서지 않아도 우선 응하고 본다는 의미다. 렌털 서비스도 이런 인간의 본성을 이용한 얄팍한 상술일 수 있다. 똑똑한 소비로 '가을 빚에 소를 잡아 먹는' 우를 범하지 말아야 한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