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석대건 기자] 우리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처리 문제를 공식 공론화했다. 

16일(현지시간) 문미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은 오스트리아 비엔나 국제원자력기구(IAEA) 본부에서 열린 제63차 국제원자력기구(IAEA) 정기 총회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처리의 국제원자력기구와 171개 회원국의 공동 역할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문미옥 차관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원전 오염수의 처리 문제가 해답을 찾지 못하고 막연한 불안감이 증폭되는 가운데 최근 일본 정부 고위 관료가 원전 오염수 처리방안으로 해양 방류의 불가피성을 언급하고 있다”며 일본 당국의 안이한 위험 인식 수준을 비판했다.

이어 “원전 오염수 처리가 해양 방류로 결정될 경우, 전 지구적 해양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대한 국제 이슈”라며, “IAEA와 회원국들의 공동 역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도 전했다. 

문 차관은 “일본의 원자로 상태 및 오염수 현황에 대한 현장 조사와 환경 생태계에 대한 영향 평가 등을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추진해야 한다”며, “국제사회가 안전하다고 확신할 만한 원전 오염수 처리 기준과 방안을 마련할 것”을 제안했다.

이어 "가장 중요한 것은 건강과 안전, 환경 보호를 위한 일본 측의 실질적이고 투명한 조치와 행동"이라고 덧붙였다. 

(사진=그린피스)
일본 후쿠시마 원전. 문미옥 과기정통부 차관은 63차 IAEA 총회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일본의 원자로 상태 및 오염수 현황에 대한 현장 조사 등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사진=그린피스)

아울러 우리 정부의 원전 안전 유지를 위한 노력도 전했다.

문 차관은 가동 원전 안전 극대화를 위한 원자력안전기준강화정책과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원자력안전혁신 프로젝트를 소개하는 한편, 국내외 원전 해체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IAEA와 회원국의 기술 협력도 강조했다.

더불어 한국의 원전 설계·건설·운영 기술과 상용화 경험을 IAEA 및 회원국과 지속적으로 공유해 나가겠다는 의지도 표명했다.

한국형 신형 원전 모델인 ‘에이피알1400(APR-1400)은 유럽사업자요건 인증과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의 표준설계인증서를 획득했으며,  한국형 소형 원전 ‘스마트(SMART)’는 사우디와 협력을 통해 건설 전 설계사업(PPE)을 마무리하고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문 차관은 “ 한국은 국제원자력기구의 평화적 이용구상(PUI)에 지속적인 재정기여로 다양한 기술협력사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금년에 국제원자력기구의 국제연구로센터로 지정된 ‘하나로(HANARO)’ 연구로와 동위원소 공급을 위한 신형 연구로(기장로)는 앞으로 연구로 이용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제연구로센터는 IAEA가 연구용 원자로 활용확대를 위해 교육·훈련·R&D 서비스 제공 능력을 갖춘 연구로에 대해 국제연구로센터로 지정하는 제도로, ‘하나로’ 연구로는 5번째로 지정됐다.

이어 문 차관은 “원자력이 인류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기여할 수 있도록 회원국들의 단합을 촉구하고 한국이 이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