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희 기자] 모빌리티 서비스 기업들의 지향점은 모빌리티 플랫폼 기업이다. 서비스로서의 모빌리티(MaaS ; Mobility as a Service)가 초기 형태지만 구현되기 시작하면서 모빌리티 플랫폼을 표방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이재호 카카오모빌리티 디지털경제연구소 소장은 9월 3일 열리는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모빌리티 인사이트 2019’ 행사에 앞서 가진 인터뷰에서 증가하는 모빌리티 플랫폼이 풀어야 할 과제에 대해 기술과 경제 사회적인 관점에서 설명했다. 

이재호 카카오모빌리티 디지털경제연구소 소장
이재호 카카오모빌리티 디지털경제연구소 소장

이 소장이 첫 번째 소개한 기술적인 과제로는 사용자와 차량의 정확한 위치와 경로를 파악하는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 사이의 정확한 이동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정확한 위치 파악이 우선돼야 하기 때문이다. 이재호 소장은 “카카오모빌리티도 불안정한 GPS 신호를 맵 매칭을 통해 안정적인 데이터로 바꿔주거나, GPS가 아예 도달하지 않는 지역에서는 통신신호나 비전 측위로 위치를 특정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두 번째 과제는 소비자별로 서로 다른 이동의 선호를 반영해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재호 소장은 “카카오모빌리티는 머신러닝을 통해 택시 배차나 내비게이션 서비스에 이런 개인별 선호를 반영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고 말했다. 

세 번째 과제는 경제 사회적으로 이동 서비스의 특수성을 고려한 제도의 설계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사람들이 이동을 필요로 하는 시간은 대부분 아침과 저녁의 출퇴근 시간에 몰려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심야시간 교통도 중요한 반면에 한낮이나 새벽에는 이동수요가 많지 않다. 

이재호 소장은 “이렇듯 수요 자체가 시간에 따라 탄력적이기 때문에 공급도 탄력적으로 이뤄질 수밖에 없다”면서 “어쩔 수 없이 긱 경제(gig economy)가 필요한 분야”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 부분이 제도에 반영돼야 하는데, 현실적으로는 쉽지가 않아 어려움이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9월 3일 '모빌리티 인사이트 2019' 행사에서 이재호 소장은 모빌리티 플랫폼이 풀어야 할 과제에 대해 경제, 사회적, 제도적인 측면에서 다양하게 소개할 예정이다. 이밖에도 차두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정책위원은 모빌리티 비즈니스 현재와 미래에 대해 발표를 한다. 현대자동차, SK텔레콤 뿐만 아니라 우버코리아, 그린카, 울룰로 등 모빌리티 전문 기업들이 직접 모빌리티 비즈니스 전략에 대해 설명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