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주 중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세종으로 터를 옮겨 새 업무를 시작한다. 공식적인 전 직원 첫 출근은 12일, 현판 제막식은 19일로 정해졌다.

모두가 중요성을 외치지만, 아무도 관심주지 않는 ‘과학기술’처럼, 주무부처 역시 최근 15년 사이 이합집산, 여러 타 부처와 만나고 모였다 흩어짐의 연속이었다. 

노무현 정부까지 홀로 존재하던 과학기술부는 2008년 이명박 정부 때 교육부와 합쳐져 교육과학기술부가 됐다. 이후 2013년 박근혜 정부 때 미래창조과학부라는 이름으로 변신해 방송·통신 업무를 맡았다. 그리고 2017년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중소벤처기업부와 분리돼, 지금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됐다.

(사진=각 정부 로고)
(사진=각 부처 로고)

이름 변천사만큼 이사도 잦았다.

원래 과천 정부 청사에 과학기술부는 교육부와 통합 후, 광화문 청사로 첫번째 이사를 한다. 이후 2013년 미래창조과학부로 변신하면서 다시 과천으로 복귀한다. 하지만 이사는 끝나지 않았다. 2016년에 방위사업청이 과천으로 옮기게 됨에 따라, 청사 내 건물 이전이 결정돼 4동에서 5동으로 약 500m 이사 가게됐다. 이제 또 세종으로 떠나게 된 셈이다. 

하지만 끝이 아니다. 세종으로 옮기게 되더라도 세종 청사에는 들어가지 못한다. 과기정통부는 2년 뒤 신청사가 완공될 때까지 인근의 민간 건물인 세종파이낸스센터2에 입주할 예정이다. 그러면 5번째 이사가 된다. 

이번 세종 이전에 드는 비용은 약 120억 원 수준. 직원 이주 지원비와 신청사 이전 전까지 민간 건물을 임차하는 데 드는 비용까지 더하면, 약 240억 원이다. 

게다가 아예 수도권을 떠나 세종 인근으로 생활권을 옮겨야 하는 1000여 명 과기정통부 직원들의 거주지 문제와 대부분의 과학기술 관련 기업이 서울, 판교 등 수도권에 위치한다는 점을 들어 업무 효율성 문제도 대두됐다.

"장기적으로 보면 오히려 기회"

그러나 외부의 걱정과는 달리 내부 분위기를 나쁘지 않다. 오히려 정책 경쟁력을 살릴 기회라는 시각도 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이사 전후에 직원들이 겪는 불편함은 있겠다”면서도, “직원들이 정부 차원에서 추진하는 일에 적극 협력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장기적으로 과학기술 발전에 대한 기대도 있다. 관계자는 “과학기술과 ICT가 현안을 장기·단기로 해결하는 범용기술이다 보니 도메인을 갖는 다른 부처 업무와 협업하는 일들이 흔하다"며, "지역적으로 인근에서 일하는 것은 서로 큰 도움"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다른 부처와 함께 R&D를 기획하거나, R&D예산 편성을 협의하는데 장점”과 함께, “대전지역에 다수 배치된 출연연들과의 협업을 강화할 수 있는 계기”도 될 것이라고 전했다.

다른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매번 애자일(민첩)이니, 혁신이니 하면서 주무부처가 지역과 상황에 얽매인다는 건 모순”이라며, “이번 기회를 통해 그동안 실제 사용이 적다고 비판받던 화상회의 등 IT 업무툴을 주무부처부터 실질적으로 활용하게 될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