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가 북한의 3G 이동통신망 구축과 유지에 몰래 관여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화웨이를 거래제한 대상(블랙리스트)으로 지정하기도 했다. 미국의 부품을 사용하는 화웨이가 이 과정에서 북한에 장비를 제공했기 때문에 미국의 대북제재를 위반했을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미국 정부가 화웨이에 대한 압박을 더욱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미·중 무역협상과 북미 실무협상에도 영향이 분명히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서유럽 국가가 화웨이의 통신장비를 앞으로 도입할 수 있을 지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22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는 전직 화웨이 직원 등에게서 확보한 내부 문서와 상황을 잘 아는 관계자들을 통해, 화웨이가 2016년 상반기까지 최소 8년간 비밀리에 북한의 상업용 무선네트워크 구축과 유지를 도왔다고 보도했다. 2008년 이집트 통신회사 오라스콤이 북한의 조선우편통신공사와 지분합작을 통해 무선통신업체 고려링크를 설립해 3G망을 구축할 때 화웨이가 중국 국영기업 판다 인터내셔널 정보기술과의 제휴를 통해 장비 및 관리서비스 제공을 했다는 것이다.

WP는 중국 유명 전자기기업체 판다그룹에 소속된 판다 인터내셔널 정보기술(이하 판다)이 핵심적 역할을 했다고 전했다. 화웨이가 북한에 기지국과 안테나 등 고려링크 설립에 필요한 장비를 전달하는 데 판다가 중개자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화웨이는 장비 제공뿐만 아니라 망통합과 소프트웨어 서비스, 관리서비스와 네트워크 보증 서비스도 제공했다.

WP가 입수한 2008년 계약서를 보면 판다는 화웨이의 장비를 북중 국경지대인 단둥 지역으로 운송하게 돼있다. 거기서 장비들이 철로를 이용해 북한으로 들어가는 방식이다. 내부자료에서 화웨이는 북한이나 이란, 시리아 등 국제사회의 제재대상국을 직접 거명하는 대신 암호로 부르기도 한 것으로 파악됐다. 북한을 A9로 지칭했다. 로마자를 이용해 북한을 chaoxian으로 표기하기도 했다. 화웨이 직원들이 쓰는 커뮤니티에는 2008년 고려링크 설립을 돕기 위해 A9에서 일하다가 베이징올림픽 때문에 귀국했다는 내용도 있다.

화웨이와 판다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힘을 얻던 2016년 상반기에 평양 사무실을 비웠다. 화웨이와 판다 직원들은 수년간 평양 김일성 광장 인근의 비싸지 않은 호텔에서 일했다고 사정을 잘 아는 관계자가 전했다. 화웨이가 2017년 11월 미 재무부로부터 대북제재 위반 혐의로 제재를 받은 중국 업체 단둥커화와 거래한 기록도 발견됐다. 다만, 단둥커화가 화웨이의 대북 거래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는 불분명하다.

2016년 상반기 미국의 대북제재가 한층 강화하자, 화웨이와 판다국제정보기술은 평양에 있던 사무실을 비운 것으로 알려졌다. 소식통은 WP에 “화웨이가 더는 업그레이드와 유지·보수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고려망은 현재 노후화된 장비로 운영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 같은 내용을 종합해 WP는 미국 부품을 사용해온 화웨이가 북한의 이동통신망 구축과 유지 과정에서 장비 제공으로 대북제재를 위한 미국의 수출규제를 위반했는지에 대한 의문이 나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고위층용 통신망 이용자들은 북한이 자체 개발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포함한 휴대전화를 쓰는 것으로 계획됐다. 시험용 암호화 기술은 중국 선전에서 화웨이가 만든 것으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고려링크 설립 이전인 2006년 1월 방중 당시 선전의 화웨이 본부를 방문한 적 있다. 이와 관련 조 켈리 화웨이 대변인은 화웨이가 과거 북한에서 직·간접적인 사업을 벌였냐는 WP의 논평 요청에 답변하지 않았으며, WP가 입수한 문서의 진위 여부에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 판다국제정보기술의 모회사인 판다그룹 측은 논평을 거부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WP 보도에 대한 취재진 질문에 “파악해봐야 할 것”이라면서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좋은 관계가 유지되고 있다는 것을 강조했다. 북미 실무협상 재개에 영향이 될 것으로 고려하지 않는다는 생각을 내비친 것으로 해석된다.

미 상무부는 2016년부터 화웨이와 북한 사이에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고려하고 수사를 진행해왔다. 다만, 상무부가 관련 내용을 공식적으로 밝힌 사례는 없다. 현재 미 법무부는 화웨이를 대(對)이란 제재 위반과 은행사기 혐의 등으로 기소한 상태다.

WP는 “만약 화웨이 전 직원의 이번 폭로가 사실로 드러나면 화웨이가 미국의 대북 제재를 직접 위반한 것일 수 있다”고 전했다. 화웨이가 미 정부로부터 추가 제재나 형사처벌 등을 받을 수 있고, 서유럽이 화웨이의 통신장비를 도입할 수 있을 지 의문이라고 WP는 설명했다.

현재 중국은 협상 재개를 위한 선결 조건으로 미국으로부터 거래제한 대상(블랙리스트)으로 지정된 화웨이에 대한 제재 완화 또는 해제를 요구하고 있다. 일각에선 미·북 간 비핵화 실무협상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의견이 나온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