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석대건 기자] 정부가 융합 보안을 위한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과기정통부와 중소벤처기업부는 국회 이종걸 의원·노웅래 의원·윤상직 의원과 함께 개최한 ‘5G 시대 스마트제조혁신과 융합보안’ 세미나를 열어 정부 차원에서 융합보안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박준국 과기정통부 정보보호산업과장은 “현재 보안이라고 하면 전형적인 정보보호 시스템에 그친다”며, “5G 시대가 되면 제품이나 서비스 등 IT 관련 기기가 모두 보안의 대상에 포함돼야 한다”고 강화의 이유를 밝혔다.

강화 로드맵은 투트랙으로, 스마트팩토리 등 융합 서비스 산업 영역의 보안 기반을 조성하는 한편, 보안 스타트업 육성 등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스마트팩토리 등 융합 서비스 보안진단·모델 개발

정부는 서비스별로 보안 현황을 분석해 각 산업 현장에 맞는 보안 모델을 개발 · 확산할 예정이다. 현장마다 다른 보안 위협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보안 솔루션 등이 모델에 포함된다.

 현재 스마트팩토리(공장) 현장의 보안 현황 분석을 위해 점검 및 컨설팅을 추진하고 있으며, ‘20년 정부 예산에 반영될 수 있도록 협의 중이다

또 민간 기업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보안시험 및 기술 검증을 할 수 있는 보안리빙랩을 스마트산단 지역에 구축할 계획이다.

‘융합보안 민관포럼’도 만들어진다. 과기정통부, 중기부 등 융합서비스 소관부처와 유기관 및 민간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해당 포럼은 스마트팩토리(공장), 자율주행차, 스마트시티, 디지털 헬스케어, 실감형 콘텐츠 관련 융합 보안 이슈를 다룰 예정이다.

더불어 전문 인재를 양성을 위해 융합보안대학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 융합보안대학원은 고려대(스마트공장), KAIST(스마트시티), 전남대(에너지신산업) 등 3곳이다.

(사진=석대건 기자)
융합 보안 기반 강화를 위해 관련 섹터를 엮은 '시큐리티 허브'가 조성된다. (사진=석대건 기자)

융합보안 경쟁력 강화를 위해 보안 스타트업을 육성 전략도 공개했다. 정부는 아이디어가 실제 사업화에 연계될 수 있도록 테스트베드를 강화해 연계 체계를 구축하고, 5대 정보보호 해외진출 전략 거점(북미, 동남아, 아프리카, 중남미, 중동) 을 중심으로 해외 진출을 지원할 예정이다. 방식은 시장조사 및 분석, 프로젝트 · 바이어 발굴을 통한 해외 수주 지원이다.

아울러 각 보안 섹터를 연계한 ‘시큐리티 허브’도 조성한다.  ‘시큐리티 허브’는 송파 ICT클러스터, 융합 보안 대학원, 판교 정보보호 클러스터, 지역 정보보호 센터의 유기 협력체다. ‘시큐리티 허브’는 융합 보안침해 대응부터 전문인력 양성, IoT 보안 시험 인증 서비스까지 융합 보안 기업에 원스톱 서비스를 지원할 예정이다.

박준국 과기정통부 정보보호산업과장은 “실제 융합보안 현장에 바로 투입될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히며, 홍보 방식도 “주도적으로 민간기업과 함께 협력해 컨퍼런스 키노트 참여 등 광범위한 형태로 확대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