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석대건 기자] 국가기록원의 클라우드에 대한 활용 부족으로 기록물 관리가 부실해진다는 지적이다. 

국가기록원은 지난해 8월 ‘클라우드 기록관리시스템(Cloud Record Management System, 이하 CRMS)’ 을 운영 계획을 밝히고, 2019년 1월부터 구축·운영 중이다.

CRMS은 43개 부처의 기록관리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연결 · 통합한 시스템으로, 다른 부처가 생산 관리하는 기록물도 국가기록원에서 검색할 수 있다. 

공개기록물의 경우, 본인 인증만 거치면 과거 정부가 생산한 문서나 이미지 자료를 검색 및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대규모 건축물 모습 등 과거 데이터를 얻을 수 있어 업계나 연구자에게 활용도가 높다.

그러나 데이터가 국가기록원으로 제대로 모이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CRMS 구축 발표 당시, 국가기록원이 시스템 기술 지원을 전담해, 각 부처 기록관은 기록관리 업무에만 집중할 수 있다고 클라우드 도입 장점을 설명한 바 있다. 이와 반대로 국가기록관에서 관리가 되지 않아 각 부처의 기록을 확인할 수 없는 꼴이다.

국가기록원보다 서울시 (사진=서울
국가기록원에서는 검색되지 않는 기록이 서울시 산하 기관에서는 찾을 수 있다. (사진=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

사라진 건축물 기록을 찾아보면, 국가기록원이 생산 데이터를 담고 있지 못하다는 게 극명하게 드러났다.

국가기록원 검색에서 ‘동대문 운동장’을 검색하면 확인할 수 자료는 총 20건이나,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자료는 2건 뿐이다. 게다가 공개된 자료인 국립영화제작소  1989년 제작 영상도 외부 접속 제한으로 자료를 확인할 수 없다. 나머지 자료는 사본 신청을 하면 열람할 수 있다. 

문제는 다른 기관에서는 더 많은 자료를 찾을 수 있다는 것. ‘동대문 운동장’ 관련해, ‘e-영상역사관’에서는 111건, ‘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에서는 15건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웹상에서도 ‘동대문 운동장’의 이미지는 쉽게 찾을 수 있다. 출처가 검증된 이미지는 많지 않다. 

클라우드 업계 관계자는 “지금 기록원의 클라우드 활용은 국민, 정책 담당자 등 사용자 관점이 아닌, 관리 편의성만 추구하는 꼴”이라며, “또 지금 상태라면 국가기록원이 각 부처에 기술 지원만 해주는 외주업체가 되고 말 것”이라도 지적했다.

이어 “이럴 바엔 민간클라우드에 관리를 맡기고 기록 관리 업무에 치중하는 게 국가기록원 입장에서도 좋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