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tvN 등 9개 방송 채널을 가지고 있는 CJ ENM이 VOD(주문형비디오) 서비스를 전면 유료화했다. 이전에는 방송된 지 60일이 지난 CJ ENM 콘텐츠의 경우 1년 동안 다시보기 서비스를 무료로 볼 수 있었지만 이제는 한 달 9900원(CJ ONE 회원 해당)의 월정액 상품에 가입하거나 편당 1650원을 내야 한다. 현재 KBS, MBC, SBS 등 지상파의 경우 방송된 지 3주가 지난 콘텐츠는 1년간 다시보기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한다.

이와 관련, CJ ENM은 VOD 서비스의 전면 유료화에 대해 콘텐츠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무료 VOD 서비스가 계속 이어질 경우 국내 소비자들의 ‘콘텐츠=무료’라는 인식이 계속 고착화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국내 지상파들도 VOD 서비스에 대해 전면 유료화를 선언할 지 관심이 쏠린다. 

25일 CJ ENM에 따르면, CJ ENM은 지난 17일 자정부터 방송 60일 이후 1년 동안 자사 VOD(주문형 비디오)를 무료로 볼 수 있었던 서비스를 종료했다. CJ ENM이 프로그램 다시보기 서비스 전면 유료화에 나선 것이다. tvN, 엠넷(Mnet), OCN, 올리브, 온스타일, OtvN, XtvN, OGN, 다이아(DIA) TV 등 CJ ENM 계열 9개 방송 프로그램에서 방송하는 모든 프로그램이 해당된다. 다만, CJ ENM OTT인 티빙을 통한 실시간 방송 시청이나 정주행채널은 여전히 무료로 서비스된다.

17일 이전에는 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등 IPTV(인터넷TV) 3사와 CJ헬로, 티브로드, 딜라이브 등 케이블 TV 업체, 푹이나 옥수수 같은 OTT(온라인동영상제공서비스) 업체에서는 방송된 지 60일이 지난 CJ ENM의 콘텐츠를 VOD를 통해 무료로 볼 수 있었다.

CJ ENM 관계자는 “국내의 경우 콘텐트 제작 업체가 프로그램 다시 보기 전면 유료화를 한 건 우리가 최초”라며 “그동안 60일이 지난 VOD의 경우 소비자들은 무료로 이용했지만 옥수수 등 플랫폼 사업자에게 일정 금액을 받아왔다. 이제는 그 수익을 받지 못하게 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tvN 드라마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WWW 현장 포토 (사진=tvN)
tvN 드라마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WWW 현장 포토 (사진=tvN)

VOD 전면 유료화, 진짜 이유는?

CJ ENM이 자사 콘텐츠를 전면 유료화한 것은 당장 수익을 추구하기 위한 것은 아닌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VOD 전면 유료화로 인해 IPTV 3사나 다른 플랫폼 사업자에게 그동안 받아왔던 일정 수익을 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물론 소비자들로부터 VOD 이용 금액을 받을 수 있긴 하지만, 유료 결제는 당분간 크게 늘어나지 않을 전망이다. 전면 유료화에 대한 반발이 있을 수 있는데다가, CJ ENM은 지상파와 달리 방송 후 60일이 지나서야 VOD를 무료로 제공해왔기 때문이다.

정리하면, CJ ENM이 VOD 전면 유료화를 선언한 것은 국내 소비자들의 콘텐츠에 대한 의식 전환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넷플릭스의 등장으로 콘텐츠 가치에 대한 의식이 예전에 비해 많이 좋아진 것은 맞지만 아직 다른 나라에 비해 부족한 것은 사실이다.

방송통신위원회와 유안타증권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주요 케이블TV(MSO)의 ARPU(가입자당평균매출)는 1만2000원대~1만3000원대, 통신3사(IPTV)의 ARPU는 1만5000원대~1만9000원대다. 이 ARPU는 홈쇼핑 송출수수료 등 합친 매출액이다. 만약 홈쇼핑 송출수수료, 설치비와 기기임대매출을 제외한 방송수신료 매출액만 따질 경우 케이블TV의 ARPU는 3000원대~4000원대, 통신3사의 ARPU는 1만원대~1만2000원대다. 미국 컴캐스트의 경우 ARPU가 85.3달러(한화 약 10만1300원), 차터 커뮤니케이션의 경우 ARPU가 81.6달러(한화 약 9만7000원)로 우리나라와 큰 차이가 난다.

유료방송 업계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경우 유료 방송 ARPU가 너무 낮다. VOD 결제가 활성화돼야 ARPU가 올라갈 수 있다”며 “CJ ENM의 경우 지상파도 아니기 때문에 VOD 전면 유료화가 너무 늦은 감이 있다. 보다 일찍 전면 유료화를 시작했어야 한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KBS, MBC, SBS 등 지상파 방송 역시 VOD 서비스 전면 유료화를 시작할 지 주목된다. 당장은 지상파 방송이 이를 시작하기 어렵겠지만 상황을 지켜보고 나서 추후 진행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다른 유료방송 업계 관계자는 “CJ ENM 등 PP(program provider, 방송채널사용사업자)들과 달리 지상파 방송은 공공성 때문에 방통위 등 규제기관의 눈치를 볼 수 밖에 없다”며 “상황을 주시하다가 VOD 전면 유료화에 대한 이용자의 반발이 예전보다 줄어들 경우 지상파 방송들도 이를 시작할 것이다. 결국 시간 문제”라고 예상했다.

표=유안타증권
표=유안타증권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