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석대건 기자] 미중 갈등이 경제 전쟁 국면으로 치닫고 있는 와중에, 중국 벽이 높아지는 가운데, 중국 땅에 자리한 빅데이터가 위태로워지고 있다.

미중, '국가 · 기업 · IT' 더해진 복합적 갈등 양상 보여

지난 5월부터 관세를 지렛대 삼아 줄다리기를 이어오던 미국과 중국이었다. 그러나 다시 화웨이를 중심으로 전선이 넓어졌다. 미국 당국은 화웨이를 거래 제한 기업 리스트에 올렸고, 거래를 중지하라고 주요 IT기업에 요청했다. 구글은 안드로이드 OS에 화웨이에 제공하지 않는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러자 화웨이에 이에 맞서 미 버라이즌에 10억 달러 규모의 특허 사용료를 요구했다. 게다가 중국 당국도 이를 지원하는 모양새다. 뉴욕타임즈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삼성전자 등 해외 기업 관계자를 불러 미국 정책에 동조하지 말라고 압박했다. 또 중국 역시 미국처럼 기업 블랙리스트를 작성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야말로 경제전쟁 상황. 또 중국 내 ‘범죄인 인도법’ 개정안에 반대하는 홍콩 시위가 날로 커지고 있어 일촉즉발이다.

지난 12일(현지시간)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기자회견에서 “홍콩과 중국이 (문제를) 잘 해결하길 바란다”며 “내가 본 것 중 가장 큰 시위였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에 중국 외교부는 내정 간섭이라며, “홍콩 입법 문제에 대한 외국의 개입을 반대한다”고 대응했다.

최근 미국과 중국 경제 갈등이 '경제 전쟁' 수준으로 치닫고 있다.
최근 미국과 중국 경제 갈등이 '경제 전쟁' 수준으로 치닫고 있다. (이미지=픽사베이, 위키피디어)

다음 전선은 ‘빅데이터’ 될까?

오는 16일이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가안보를 위협한다는 이유로, 화웨이에 통신장비 판매와 사용을 금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지 한 달이 된다. 

그 사이 구글, MS, 인텔, 퀄컴, 브로드컴, 마이크론, Arm 등 주요 미국 기업들은 화웨이와 제품 공급 계약을 중지하고 기술 계약을 해지했다. 파트너 기업 이름에서도 지웠다.

이제 다음 전선은 빅데이터 분야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2021년 세계 데이터센터의 약 40%가
아태지역에 위치하며, 중국은 그 핵심이다.
(자료=시스코 클라우드)

미중 무역 전쟁 이전까지 중국은 글로벌 빅데이터 중심지로 가장 떠오르는 지역이었다. 그 예로, 금융 관련 중국 데이터 시장은 202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은 140%에 육박해 시장 규모가 1,300억(약 22조 1,845억 원)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데이터 시장이 커지면 당연히 데이터센터 시장도 커지기 마련. 테크네비오에 따르면 2022년까지 중국 데이터센터 시장은 약 11.5%의 연평균 복합 성장률(CAGR)을 기록할 것이라 예측했다.

전쟁 전에는 경제 특구, 지금은 화약고 

게다가 중국 구이저우성 구이안 신구는 중국 빅데이터산업 발전 시범지구의 하나로, 중국 정부의 정책 지원 아래 여러 글로벌 기업들의 투자와 데이터센터 설립했다. 

중국 정부는 구이안 신구에 빅데이터센터를 건립하거나 법인을 설립하는 기업에 대해 2년간 법인세 면제, 법인세 감면기간 종료 후 3년간 세율 50% 감면 혜택 등 각종 투자유인책을 제공했다.

주요 글로벌 기업은 거의 모두 중국 내 데이터센터를 보유 중이다.

아마존의 AWS는 베이징과 닝샤에 데이터센터 리전이 있다. 연결 클러스터인 가용영역은 총 5개다. 또 미중 무역 전쟁의 트리거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홍콩에 추가 설립 예정이다. MS의 애저 데이터센터 리전도 4개나 중국에 있다.

애플은 현재 네이멍구 자치구에 중국 내 아이클라우드 사용자를 위한 두번째 데이터 센터를 2020년 가동 목표로 건설 중이다. 첫번째 데이터센터는 구이저우에 위치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의 글로벌 빅데이터 센터도 구이저우에 있다. 

사이버보안법, 중국 정부가 원하면 데이터 꺼낼 수 있다.."데이터 인질로 하는 갈등 피해야"

물론 글로벌 IT기업의 중국 내 데이터센터 설립은 중국 사이버 보안법 제정에 따른 대책이기는 하다. 사이버 보안법에 따르면, 중국에서 모든 인터넷 서비스 기업은 서버와 데이터를 중국 내 둬야 한다.

문제는 중국 정부가 원할 경우 데이터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 애플은 아이클라우드 서버를 이전하며, 동시에 암호화키도 중국 정부로 넘어가자 글로벌 인권 및 정보보호 단체로부터 비판받은 바 있다.

중국에 데이터센터를 둔 글로벌 IT기업 관계자는 “무역 거래는 멈췄다가도 재개하면 되지만, 데이터를 두고 보복 양상으로 번지면 기밀 유출, 개인 정보 침해, 사이버 안보 등 문제가 심각해질 수 있다”며, “미중 갈등이 원만하게 해결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