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희 기자]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대책은 3년~5년이 아닌 10년 그 이상 되는 장기계획이 돼야 한다. 우리나라는 장기계획이 없다. 적어도 10년 이상의 장기계획이 있어야 한다. 우리들의 교통, 주거 등 여러 가지 생활환경을 바꿔야 하는데 장기적인 목표가 있어야만 가능하다.”

김용표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는 최근 ‘기후변화의 전령사, 미세먼지’라는 주제의 KCERN 포럼에서 미세먼지 해결을 위해서는 10년 이상의 장기계획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이 자리에서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3가지 대책에 대해 설명했다. 첫 번째가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10년 이상의 장기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이어 “예를 들어 미세먼지 해결을 위해 중국과 협력을 해야 한다고 하는데, 장기 계획이 없기 때문에 중국에 무엇을 요구할지, 어떤 전략을 세워서 해야 할지 어렵다”면서 “결국 중국이 원하는 방향으로 갈 수 밖에 없게 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장기계획이 없으면 파생되는 문제로 소통의 어려움과 현상규명의 부재를 들었다. 즉 두 번째와 세 번째 대책은 이 두가지 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점을 둬야 한다는 것. 미세먼지 정책에 대해 국민들이 정부 정책을 불신하는 정도가 심각하다며, 정부는 적극적인 소통을 해야 한다고 김 교수는 지적했다. 

김용표 이화여대 교수가 KCERN 포럼에서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3가지 대책에 대해 설명했다.
김용표 이화여대 교수가 KCERN 포럼에서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3가지 대책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전문가도 그렇고 정부도 그렇고 수용자보다는 공급자 관점에서 접근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공급자 관점에서 맞는 말이지만 수용자인 국민 입장에서 맞는 말이 아닐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장기계획이 없다보니 원인규명 등 기초연구가 안된다는 점도 문제다. 현상 측정에 급급하고 미세먼지가 생기는 원인이 무엇인지 등에 대한 원인 규명이 이뤄지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김용표 교수는 “장기적인 계획, 더 효과적인 소통을 위한 사회과학 연구, 기초연구에 대한 투자 등 3가지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