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석대건 기자] 정부가 5G, 데이터경제 등 4차 산업혁명 기술 R&D 확충을 기반으로 경제 활성화를 이루고 국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겠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가 2019년 업무계획을 7일 발표했다.

2019년 업무 계획의 주요 골자는 ▲ 데이터 · 네트워크 · AI 고도화로 경제활력 제고 ▲ 국가 R&D 혁신 가속화 ▲ 미래 신산업 핵심원천기술 확보 ▲ 과학기술‧ICT 기반의 포용사회 구현 등 5가지다. 

브리핑을 맡은 과기정통부 문미옥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사람중심의 4차 산업혁명을 실현하기 위한 업무 계획”이라며, 추진방향을 설명했다.

문미옥 과기정통부 1차관에 2019년 업무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과기정통부)

과기정통부는 2019년 추진 계획의 배경으로, 지난해 정부가 추진한 ‘데이터 산업 활성화 전략’ ‘5G 상용화 계획 ‘인공지능 R&D 전략’ 등 분야별 정책 기틀 아래, 지속적인 모멘텀 확보를 위해 수립된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 R&D 투자에 있어서도 관련 예산이 20조 원을 넘어서는 등 현 정부가 추진하는 R&D 혁신정책에 대한 현장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판단하는바, 이를 토대로 ‘현장체감형 실행’으로 발전시키고, 바이오 · 우주개발과 같은 미래역량을 확충하기 위함이라고 밝혔다.

동시에 가계 통신비 절감이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ICT 정책으로, 연구 실증과 적용을 통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2019년은 데이터경제 인프라 구축의 원년'

과기정통부가 가장 무게를 실은 파트는 ‘데이터 · 네트워크 · AI 고도화로 경제활력 제고’ 목표다. 

과기정통부는 ‘데이터(DATA)-네트워크(NETWORK)-인공지능(AI)’를 연결고리로 묶어 ‘D.N.A 고도화’라 명명하고, 생산성 제고 및 성장동력 창출의 핵심수단으로 삼겠다고 밝혔다. 그 근거로 맥킨지 보고서를 인용해, 2030년에 이르면 지능화 혁신의 경제효과는 630조 원에 달하며, 일자리 역시 210만 개가 창출된다.

이를 위해 과기정통부는 2019년을 데이터경제 인프라 구축의 원년으로 삼는다. 

데이터경제 활성화 계획에 따라 2019년 구축 예정된 빅데이터센터는 100개, 빅데이터 플랫폼은 10개다. 관련 예산만 해도 743억 원이다.

더불어 600억 원 가량의 데이터 구매 · 가공 바우처 지원 사업, 40억 원의 클라우드를 적용한 데이터 혁신자원화 촉진 사업, 5개 분야로 확대되는 ‘마이데이터’ 사업까지 동시 다발적으로 인프라 구축 및 활용 사업이 진행된다.

네트워크 기술 접점 역시 확장한다.

통신망은 스마트폰 기반 5G 상용화와 함께 인터넷 커버리지를 10%까지 확대하는 한편, 2200만 대까지 IoT서비스 이용기기를 늘리는 한편, 유해가스실이나 지하 및 수중 환경 등 위험 지역에서도 사람 대신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도록 92억 원을 들여 초소형 IoT 개발할 예정이다.

또 AI 기술의 개발 다각화를 위해 310억 원을 들여 ‘AI허브’를 통해 컴퓨팅 파워, 알고리즘을 제공하고, 기존 정보시스템 예산을 ‘지능화 사업’으로 전환해 공공 부문에도 AI가 활용될 수 있도록 과기정통부가 나서 선도한다고 밝혔다.

원격의료부터 미세먼지까지...데이터 관련 없는 분야 없어 

과기정통부는 D.N.A 활성화를 통해 타 산업과의 융합에도 힘을 주겠다고 밝혔다.

연내 AI 기반 정밀의료 서비스인 ‘닥터앤서’ 서비스와 환자 이송 · 처치 시간을 단축하는 ‘AI응급 의료시스템’을 개발한다. 전성배 과기정통부 기획조정실장은 “현재 임상실험 중이며 원격 진료의 경우 추가로 고려해보겠다”고 밝혔다.

또 한국형 스마트시티로 지정된 대구시와 시흥시에 데이터 허브 모델을 적용, 교통 · 안전 · 환경 등 실질 도시 서비스와 연계하는 실증 모델을 개발하는 한편, 서울시 4개 구에 서울시와 SK텔레콤 데이터를 활용한 교통량 예측 시뮬레이션도 선보일 계획이다. 또 재난 현장이나 치안 사각지대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공공용 드론도 개발 추진할 예정이다.

미세먼지 기술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전성배 과기정통부 기획조정실장은 “미세먼지 문제는 환경부 주관하에 풀고 있지만 범부처가 참여해 연구·개발 중”이라며, “과기정통부는 원인 분석과 모델링 예측”이라고 설명했다. 

실질적인 미세먼지 감축 실행 계획과 관련, “제철소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 양을 30% 감축한다는 목표로, 개발한 촉매를 이용해 9월 중으로 테스트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D.N.A 기술을 활용하는 ICT 중소 · 벤처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규제 샌드박스 대표 사례 창출로 민간 투자를 유도하고, ‘19년 60개 기업을 ‘SW 고성장 클럽 200’으로 선정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19년부터 ‘R&D 20조 원’을 맞음에 따라, 2040년을 바라보는 장기 ‘대한민국 과학기술혁신 미래전략’도 수립할 예정이다.

'19년 하반기 중으로 수립될 ‘2040 미래 전략’은 장기적으로 우주 · 에너지 · 바이오 등 유망 기술 도출을, 단기적으로는 AI, 빅데이터, 양자컴퓨팅 등 맞춤형 육성 전략이 포함할 방침이다.

아울러, 감염병, 화재, 화학 사고 등 재난 · 안전 연구에 1조 원, 미세먼지 저감 연구에 1127억 원, 국민 건강 연구에 862억 원 등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R&D에도 투입할 계획이다.

‘19년에는 연구자 지원 시스템도 개편·강화한다. 

그동안 각 부처가 개별 운용하던 17개의 연구비관리시스템을 통합 구축하고, 오는 '21년까지 20개에 달하는 연구 과제 지원시스템 및 연구자 정보시스템을 통합 구축할 예정이다.

또 미국의 국방고등연구계획국을 따온 한국형 다르파(DARPA)를 창안해, 미래 파급력이 큰 도전적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 시스템도 구축한다고 과기정통부는 밝혔다.

전성배 과기정통부 기조실장은 “지원 방식은 과제에 따라 해당 역량이 높은 연구자에게 예산을 지원하고 연구 과정을 관리하는 것”이라며, “사회적으로 시급하거나 대규모 지원이 필요한 경우에 적용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구상 단계로, 구체적인 계획 수립 중”이라고 덧붙였다. 한국형 다르파는 ‘19년 하반기 중 마련하는 ‘국가 R&D 도전성 강화 제도 개선 방안’에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R&D 연구 효율성을 향상을 위해 ‘19년 상반기에는 인사채용, 감사, 노무관리 등 공통행정서비스 발굴 및 공동행정지원센터(Shared Service Center) 설립하고, 하반기에는 부처별 운영 중인 연구윤리 규범을 ‘범부처 연구윤리 통합지침’으로 통합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업무 계획으로 과기정통부는 ‘19년을 기점으로 4차 산업혁명 대응 인재 양성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22년까지 4만 명 인재 육성이 목표다. 이를 위해 ‘이노베이션 아카데미’를 신설한다. ‘이노베이션 아카데미’는 無교수, 無교재, 無학비로 교육을 진행할 예정이다.

또 AI‧SW·블록체인 교육・창업을 지원할 ‘ICT 이노베이션 스퀘어’를 '19년 상반기 중으로 조성해 고급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성배 과기정통부 기조실장은 "국내 인센티브 부여나 해외 인재 네트워킹 사업을 지원해 인재 유출을 막고, 일자리 창출에도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