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석대건 기자] 재난·안전 대책이 새롭게 정의된다. 

정부는 미세먼지, KT 아현지사, KTX 열차 탈선 등과 같은 국민 생활에 밀접한 위험요인에 따라 재난을 분류하고 이에 대응하는 ‘재난 · 안전 R&D 투자 혁신방안’을 지난 22일 제3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발표했다.

이번 재난 · 안전 R&D 투자 개선 방안의 골자는 ▲ 분류체계 개선 ▲ SAFE 투자 모델 도입 ▲ 수행 체계 혁신이다.

분류체계 개선으로 R&D 투자 일관성 확보, 재난안전정보포털 구축으로 연구 공유

먼저 기존 R&D 분류 체계가 개편된다. 기존에는 재난이 인문사회 분야로 분류돼 관련 연구 개발 현황 파악이 어려웠고, 재난의 원인 또한 기업 중심으로 구분돼 제대로 된 예방 · 복구 시나리오를 수립할 수 없었다.

재난안전 R&D 분류 체계가 유형별·관리단계로 개편된다. (사진=과기정통부)

정부는 분류체계 개선을 통해 재난·안전 R&D 투자의 일관성·연속성 확보하고 데이터 기반의 정밀한 투자현황 분석을 통해 투자 공백분야를 도출하여 투자 우선순위 확정에 활용할 계획이다.

더불어 개선된 분류체계에 근거해 ‘재난안전정보포털’도 구축한다. 포털에는 투자현황 및 지역별 재난정보, 국민 아이디어 수요조사 결과 등 통계 데이터를 정부 각 부처와 R&D 연구자에게 공개·공유할 계획이다. 

시나리오, 지역, 분야, 순환 고려한 'SAFE 투자모델' 도입 

효율적인 R&D 투자를 위해 ‘SAFE 투자모델’도 도입한다.

’SAFE’는 S(Scenario, 시나리오)-A(Area, 지역)-F(Field, 분야)-E(Evaluation, 순환)의 약자로, 정부는 이를 통해 복합재난, 지역현안, 실수요 등을 고려한 투자결정과 성과관리 등의 R&D 환류체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더불어 R&D 수행 체계도 대폭 확장한다.

정부는 재난·안전 범부처 협의체를 광역자치단체까지 포함하여 확대·개편함으로서 부처-부처, 부처-지자체간 협력사업 발굴을 촉진하는 한편, 전문관리기관 중 1개 기관을 선정하여 재난안전R&D 전담기능을 부여할 계획이다.

재난안전 R&D 전담기관은 과기정통부, 행안부, 경찰청, 소방청, 해경청의 R&D 사업과 연계성을 확보해 재난·안전 현장에서의 실행력을 제고한다는 방침이다.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국민 생활과 밀접한 문제에 대한 과학기술이 중요하다”며, “각종 재난 · 안전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R&D 성과물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