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IPTV, 케이블TV(MSO, 복수종합유선방송사업자), 위성방송(KT스카이라이프) 등 유료방송 플랫폼 사업자와 지상파 방송의 가입자당 재송신료(CPS) 계약이 지난 달 끝났지만 협상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고 있다.

현재 MBC, KBS, SBS 등 각 지상파 방송에 대한 IPTV, 케이블TV(MSO), 위성방송 업체가 지불하는 가입자당 재송신 가격은 400원이다. 다시 말해, 한 유료방송 사업자가 지상파 3사 콘텐츠를 송출하기 위해서는 가입자당 1200원(400원X3)을 지불해야 하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지상파는 CPS 인상을 600원~800원으로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유료방송과 지상파의 CPS 갈등으로 또다시 블랙아웃(Black out, 방송 중단 사태) 현상이 나올 지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각 유료방송에서 지상파 송출을 하지 않고 종합편성채널이나 CJENM 같은 PP(program provider, 방송채널사용사업자) 채널만 묶은 상품만 판매하는 것도 대안이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2004년 이후 지어진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경우 시청 라인(선)이 2개이기 때문에 지상파 채널을 디지털 방식으로 직수신할 수 있고, 유료 방송 역시 동시적으로 시청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21일 유료방송업계에 따르면, 지상파 CPS 가격은 시간이 지날수록 계속 인상되고 있는 상태다. 지난 1999년 지상파 방송국은 IPTV와 위성방송과 CPS 280원으로 계약하면서 시장가격으로 고정됐다. 이후, IPTV의 경우 지난 2016년 360원에서, 2017년 380원, 2018년 400원까지 CPS가 올라갔다. 현재 MSO의 경우 모두 400원이다. 위성방송인 KT스카이라이프도 마찬가지다. 문제는 현재 지상파 방송사가 CPS를 더 올리려고 한다는 점에 있다. 지상파 방송이 원하는 수준의 CPS는 600원~800원이다.

CPS를 600원으로 가정할 경우 한 유료방송 업체가 지상파에게 지불해야 하는 금액은 1800원(600원X3)이다. 케이블TV의 경우 ARPU(가입자당 평균매출)가 7000원대~8000원대인 수준에서 지상파가 요구하는 CPS는 유료방송에게 많은 부담인 것은 사실이다.

유료방송 업계 관계자는 “지상파 3사의 동일한 단가(400원) 책정과 다양한 유료방송 사업자들에게 동일하게 CPS를 부과한다는 점은 문제 있다”며 “MBC가 우선 협상하고 나중에 동일한 내용으로 공문을 따로 보내는 KBS/SBS 등의 현황은 명백한 담합 행위로 불공정 거래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요즘 지상파 많이 보나?...지상파 채널 뺀 상품 '대안'

이런 가운데, CPS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유료방송업체가 지상파 채널을 빼고 상품(알라까르떼, a la carte)을 구성하는 것이 방안이라는 대안이 제기됐다. 10년 전만 해도 지상파 위주의 콘텐츠만 시청자들이 주로 봤기 때문에 사실상 불가능 했지만 지금은 CJENM의 TVN이나 JTBC 등 종편채널이 젊은 층에 인기를 끌면서 충분한 가능한 상황이다. CJENM의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인 티빙이 지상파 콘텐츠가 없지만 운영이 잘 되고 있다는 점도 이 논리를 뒷받침한다. 유료방송이 지상파 송출을 포기하면 CPS를 지불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유료방송 가격이 낮아지고 소비자 선택의 다양성이 강화될 수 있다.

방송통신위원회 고위 관계자는 “CPS 문제는 사업자간 계약 사항이기 때문에 정부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나 방통위가 직접적으로 나설 수 없다”며 “2004년 이후 지어진 아파트 등의 경우 수신 라인이 2개이기 때문에, 지상파는 디지털 방식으로 직접 수신하고 나머지 다른 라인으로 유료방송을 시청하는 방식으로 하면 CPS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케이블TV나 IPTV, 위성방송 등은 지상파 송출을 없앤 유료방송 상품인 알라까르떼를 출시하는 것을 검토했다.

하지만 지상파의 반발이 심했다고 관계자들은 입을 모은다. 지상파들은 막상 지상파의 콘텐츠와 채널이 유료방송편성에 제외되는 것에 두려움을 느끼는 것이다. 지상파 방송이라는 취지를 생각하고, 그들의 콘텐츠에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다면 시장경제 논리에 맞게 유료방송 상품에 지상파의 콘텐츠가 제외되는 것도 허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기득권 지키려는 지상파...CPS 인상으로 자신들 이익만 추구

2003년 이전에 지어진 공동주택 등은 수신 라인이 하나이기 때문에 사실상 하나의 라인을 케이블TV용으로 사용해왔다. 이때는 어쩔 수 없었지만 기술의 발전으로 현재는 디지털을 통해 지상파 방송 수신이 가능하고 유료방송과 라인을 분리해 동시 시청이 가능한 상황이다. 하지만 여전히 지상파는 CPS 인상을 통해 자신들의 이익만 추구하고 있다. 

방송 업계 관계자는 “라인이 2개인 가정의 경우 지상파를 직수신하고 유료방송을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모드를 변경해야 하기 때문에 시청자들이 불편한 점이 있다. 하지만 지상파를 보지 않고 CJ계열이나 종편 시청만 원하는 시청자들이 분명히 있다”며 “이런 상품 출시를 통해 가격을 낮추고 소비자의 선택권을 확대하는 것도 필요한데 지상파들이 반대만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현재의 경우도 지상파 시청을 직접 수신 방법으로 전환할 경우 산간 지역 등에 난시청지역이 생긴다”며 “난시청해소라는 지상파의 의무를 무시한 채 방통위로부터 막대한 양의 방송발전기금을 수령하고 있는 점은 옳지 않다. 유료방송사업자들은 매년 매출의 일정비율을 방송발전기금으로 납부 중이나 지원을 거의 못받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KBS의 경우 국민들에게 수신료를 받으면서 방송발전기금 지원 외에 유료방송플랫폼에 재송신료까지 받는 것은 매우 부당하다”고 강조했다.

표=유안타증권
표=유안타증권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