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즈음 정부기관 행사나 세미나마다 '4차산업혁명'이라는 수식어가 많이 붙는다. 그렇다면 대한민국은 과연 4차산업혁명 시대를 잘 대비하고 있을까. 이에 대한 대답은 물론 "아니다"이다.

정부차원에서, 또 민간차원에서 4차산업혁명 시대를 잘 준비하고 있는지 진단해보면 100점 만점에 50점 정도이지 않을까 싶다.

최재용 4차산업혁명연구원 원장.
최재용 4차산업혁명연구원 원장.

4차산업혁명 관련 산업의 발전 척도를 진단하는 방법 중 하나는 관련산업 전시회를 보는 것이다. 지난 9월 12~14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렸던 사물인터넷 국제전시회를 살펴본 관람객들의 반응은 한마디로 "이게 다야"였다. 8개국에서 193개의 전시부스를 운영한 행사였지만 규모 면에서나 내용면에서나 부족했다.

지난 9월 13~16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렸던 디지털헬스케어페어 역시 실망감을 안겨줬다. 전시된 간호로봇, 치매예방로봇은 중국에서 만든 'Sanbot'이라는 로봇이었고 볼 것 없는 전시회에 관람객도 적어 참가한 회사들이 서둘러 짐을 싸는 모습까지 보였다.

4차산업혁명 연구를 시작하며 미국, 캐나다, 일본, 중국, 핀란드, 에스토니아를 벤치마킹 해봤다. 그 결과 우리나라 정부와 기업, 학계가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드론과 로봇은 중국이 앞서가고 있고 블록체인 상용화는 에스토니아가 단연 선두이다. 중국은 정부까지나서 '세계 1위 로봇강국'을 목표로 무섭게 시장을 점유하고 있다. 에스토니아는 이미 블록체인 교과서를 제작했고, 앞으로는 블록체인 대학도 설립한다는 계획까지 세운 상황이다.

그래서 4차산업혁명 컨트롤타워에 제안해본다. 4차산업혁명 관련 공무원과 국회의원, 연구원, 기업인, 교수, 기자, 학생 등을 4차산업혁명 선진지로 보내야 한다. 그래서 보고, 느끼게 해야 한다.

그들이 다녀와서 선진지 견학 보고발표회 ,간행물 발간, 방송프로그램 제작 등으로 전국민에게  4차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를 알리고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

<본 내용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