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유다정 기자] 13일 케이블TV 혁신세미나가 개최돼 케이블방송의 경쟁력은 역시 ‘지역성’이라는 이야기가 나왔다. 중국과 일본에서 온 연사들도 지역과의 연결성을 강조하며 성공사례를 발표했지만, 한국에서는 국토불균형이 심각하고 방송시장도 공정하지 못해 케이블 방송의 쇠퇴가 계속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김성진 케이블TV협회장은 “지역밀착 채널역할을 하고있음에도 불구하고 방송법이 규정한 지역방송에 포함돼 있지 않다”며 “규제는 받고 있으나 지원, 진흥에서 빠져있다”고 말했다.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13일 2018 ACE Fair 행사장인 광주 서구 상무누리로 김대중컨벤션센터 컨벤션홀3에서 정부의 지역균형발전 정책과 지역 미디어 케이블TV의 역할론을 한국, 중국, 일본의 사례분석을 통해 모색하는 케이블TV 혁신세미나를 개최했다.

타카히라 후토시 제이콤 지역미디어본부장은 지역성 강화 이후 유료방송 해지율이 낮아졌다고 강조했다.
타카히라 후토시 제이콤 지역미디어본부장은 지역성 강화 이후 유료방송 해지율이 낮아졌다고 강조했다.

“지역성이란 지역에 공헌하는 것, 즉 지역에 필수불가결한 존재가 되는 것이다.” 쥬피터텔레콤(이하 제이콤)의 타카히라 후토시(Futoshi Takahira) 지역미디어본부장은 이같이 말했다. 제이콤은 쇼난후지사와 시민 마라톤을 9회째 이어오고 있는 등 지역을 위한 방송과 이벤트를 제작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지역이 갖고 있는 과제에 대해 해결방안 제안하면서 '커뮤니케이션 창구'를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역민들이 데일리 뉴스에 시청자 관심이 높으며, 지역 투표방송과 불꽃축제 시청률은 각각 5%, 10%가 나오기도 했다고 전했다. 

중국에서는 쟝쑤방송국이 ‘데이트같은 관람’, ‘중국10대감동스토리’, ‘칠석동양발렌타인데이’ 등 젊은층을 공략한 방송프로그램을 제작했다. 위챗과 함께 협업해 장수유선채널의 모든 프로그램 위챗 통해 볼 수 있어 시장점유율을 높였다는 점도 성공 이유 중 하나다. 중국 칭화대의 슝청위(Xiong Cheng-yu) 국가문화산업연구센터장은 “성공한 지역방송은 자신만의 슬로건과 브랜드가 있다”며 “자신만의 브랜드를 현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세미나에 참석한 고삼석 방통위 상임위원은 “글로벌에서 플랫폼 경쟁은 힘들지만, 콘텐츠로는 충분히 가능하다”며 “아시아 한류 중심으로 동북아의 콘텐츠허브, 나아가 글로벌 콘텐츠허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류한호 광주대 교수가 꼽은 국내 케이블TV 긍정 사례
류한호 광주대 교수가 꼽은 국내 케이블TV 긍정 사례

물론 한국에서도 지역성을 강화하는 콘텐츠는 제작되고 있다. 류한호 광주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국가균형발전위원회 위촉위원)는 그 예로 ▲CJ헬로의 '우박 피해 입은 안동 지역 농가 돕기 프로젝트 '빅토리 안동합격사과' ▲CMB의 지역민의 희로애락을 담은 스포츠 중계 ▲현대HCN의 서초구 '서리풀 페스티벌' 단독 주관 방송 ▲딜라이브의 '교가 바꿔주기 프로젝트 학교 가(歌) 좋다' ▲티브로드의 '시청자가 만드는 우리동네TV'를 꼽았다.

류한호 교수는 그러면서도 “한국은 인구절벽 상태는 물론, 수도권 중심주의적 경향으로 국토 불균형이 심각해 (앞에 성공 사례인) 중국과 일본과는 다르다”고 진단했다. 

김성진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장과 성기현 SO협의회장
김성진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장과 성기현 SO협의회장

김성진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장도 “지역선거 때 9000명이 넘는 후보들을 집중 분석하고 후속보도까지 전했다. 어떤 채널은 지상파와 종편보다 시청률이 더 많이 나왔다. 홍수나 가뭄처럼 국지적인 재난방송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면서도 “방송법이 규정한 지역방송에 포함돼 있지 않아 규제는 받고 있으나 지원, 진흥에서 빠져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방송법규정에 따라서 지역 뉴스를 할 수 있으나 해설 논평은할 수 없다. 보고 듣기만 하되 생각하지 말라는 의미”라며 “몇몇 국회의원들은 자치단체장들의 정치편향성을 지적하지만, 그것은 소비자가 선택할 문제”라고 전했다.

합산규제 일몰도 거론됐다. 유료방송 합산규제란 케이블TV와 IPTV, 위성방송 등 유료방송 시장에서 특정기업계열 가입자 점유율이 전체의 3분의 1(33.33%)를 넘지 못하도록 한 것을 말한다. 2015년 6월 합산 규제가 시행될 때 3년 일몰을 조건으로 만들어져 현재 합산규제는 없어진 상태다. 김 회장은 “동일 서비스 동일 규제라는 공정성이 보장돼야 한다”며 지역성 강화를 위한 규제 제한을 강조했다.

동석한 성기현 SO협의회장 또한 “통신사에서 IPTV 시장에 진입하면서 모바일 상품과 결합하면서 공격적으로 마케팅함에 따라 케이블TV의 지역성을 강조한 콘텐츠들이 효과를 보지 못했다”며 아쉬움을 전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