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2차 교통사고 방지, 성범죄 피해자에 대한 추가 피해 방지 등 국민적 관심이 높은 치안현장의 문제 해결을 위해 과학기술이 본격 활용된다. 교통사고 발생 등으로 인한 도로 정체상황 등을 알려주는 경찰 순찰차용 소형 드론과, 버튼을 누르면 펴지는 초경량 방패가 2020년에 개발될 전망이다. 드론은 사건·사고 현장의 상황을 촬영해, 기록으로 남기는 데 이용할 수도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경찰청은 이런 내용을 담은 치안현장 맞춤형 연구개발 시범사업(폴리스랩 사업)이 시작된다고 2일 밝혔다. 폴리스랩이란 치안을 뜻하는 폴리스(Police)와 리빙랩(Living-Lab)의 합성어로, 과제 선정부터 실증까지 국민, 경찰, 연구자가 함께 참여하는 리빙랩 방식을 도입했다. 

국민생활연구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폴리스랩 사업은 연구자 중심으로 진행됐던 기존 연구개발 사업과 달리, 국민과 경찰이 연구과제 기획과 실증 등에 참여하는 것이 특징이다. 사업은 올해부터 2020년까지 3년간 진행되며, 총 1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폴리스랩 과제 (사진=과기정통부)
폴리스랩 과제 (사진=과기정통부)

이 사업의 지원을 받아, 차지훈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박사팀은 사건·사고 현장에서 쓸 수 있는 드론을 개발하기로 했다. 경찰차에 실릴 수 있는 드론과 함께, 이 드론이 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차량용 드론 도킹스테이션도 제작할 예정이다.

올해 과제로는 경찰관의 신변을 보호하기 위한 접이식 초경량 방패 개발도 선정됐다. 현재 쓰는 방패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초경량 소재를 쓰고, 버튼을 누르면 펼쳐지게 설계해 휴대성을 높일 계획이다.

성범죄 피해자의 추가 피해를 막는 상담 챗봇도 과제로 선정됐다. 이밖에 이번 사업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1분 안에 미아나 치매 노인의 신원을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 신고자·구조 요청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 차량 블랙박스 영상을 분석하는 인공지능 기술도 개발하기로 했다.

한편 과기정통부와 경찰청은 내년에도 2개 과제를 추가로 선정해, 연구개발에 2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6개 연구팀을 통해 개발되는 제품과 서비스가 치안 현장에 적기 적용될 수 있도록 관련 제도의 개선이나 공공구매와의 연계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과기정통부와 경찰청 관계자는 “치안현장의 문제는 과학기술을 통해 보다 근원적인 해결이 필요한 가장 시급한 국민생활문제 중 하나”라며 “국민, 현장경찰이 연구개발 전 과정에 참여하여,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문제해결 기술을 개발하고 치안 현장에 적용, 확산 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미지=과기정통부
이미지=과기정통부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