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유다정 인턴기자] 지난 1일부터 주 최대 노동시간을 52시간으로 단축하는 개정 근로기준법이 시행됐다. 게임 업계 안팎에서도 주 52시간 근무제가 우려 속에서도 연착륙할 것으로 전망한다.

개정 근로기준법은 연장․휴일근로 포함 1주 최대 52시간 실시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운송‧보건업 등 특례업종이 아닌 300인 이상의 기업은 지난 1월부터 개정 근로기준법에 적용받고 있다. 50~300인 미만의 기업은 2020년부터, 5~50인 미만 기업은 2021년 7월부터 시행된다.

게임회사들은 어떻게 대처하고 있을까?

넥슨은 선택적 근로시간제를 도입해 조직별 의무 근로시간대 외에는 직원들이 출퇴근시간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게 했다. 주말과 법정휴일, 22시 이후 야간 근로도 금지했다. 또한 출근 후 8시간 30분이 경과되면 별도의 알람을 하고, 개인 근로시간 관리 페이지를 구축하는 등 근로시간 관리 감독도 강화했다고 밝혔다. 

엔씨소프트는 이미 지난 1월부터 주 40시간의 근무를 원칙으로 출퇴근 시간은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는 '유연 출퇴근제'를 도입했다. 넷마블도 지난 3월 선택적 근로시간제를 통해 직원들이 10~16시(점심시간 1시간 포함) 근무시간을 제외하고 나머지 업무시간을 자율적으로 선택, 조절할 수 있게 한 바 있다.

이밖에도 게임빌, 펄어비스, 웹젠, NHN 엔터테인먼트 등 많은 회사들이 이번 근로기준법 개정을 계기로 직원 워라밸 개선에 나서는 모양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법 개정 전부터 야근한 다음엔 출근시간을 늦추는 등 유동적으로 근무해오고 있었다”며 “(앞으로도) 별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고용노동부)
7월부터 주52 근로시간제가 시행됐다. (사진=고용노동부)

2020년부터 주 52시간 근무제도의 적용을 받는 300명 미만의 중소 사업자들도 담담한 모습이다.

130여명이 근무하는 한 게임사는 “다른 회사들이 어떻게 하고 있는지 지켜보고 있는 상태”라며, “유예기간이 많이 있어서인지 내부에서 크게 동요하고 있진 않다”고 전했다. 대기업이 아닌 소규모 회사의 경우 늘어나는 인건비를 감당하지 못할 것이라는 비판에 대해서도  “회사 규모가 작다고 52시간 근무제에서 아예 제외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며 “직원들의 저녁있는 삶을 보장하기 위해 나가야할 방향”이라고 덧붙였다.

게임엔진개발사 유니티에서 근무한 이영호 ARA XR Lab 대표 또한 “게임 제작 일정이 지연되고, 인건비가 늘어나는 등 회사 운영에 있어서 어려운 부분이 다소 있을 것”이라면서도 “시스템만 체계화된다면 주52시간 근무로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에 덧붙여 “회사만 쥐어짜는 것이 아니라 정부-기업-노동자 3중으로 다함께 노력해야할 문제”라고 강조했다.

"더 큰 문제는 포괄임금제" 

일각에선 "포괄임금 제도 논란 전 폭풍 전야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포괄임금제는 연장·야간근로 등 시간외근로 등에 대한 수당을 급여에 포함시켜 일괄 지급하는 것으로, 노동시간이 일정치 않거나 초과근무가 수시로 발생하는 직종의 경우 편의상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게임업계에서는 포괄임금제가 근무시간이 길어지는 원인이자, 이른바 ‘공짜 야근’ 논란을 부르는 요인으로 꼽히고 있어 노동자들은 포괄임금제 폐지 없는 주 52시간 근무는 의미가 없다고 주장한다.

최근 웹젠은 기존 연봉 변화 없이 포괄임금제를 전면 폐지했다. 하지만 많은 기업들이 “연봉 삭감은 필수 불가결하다”는 입장이다. 결국 대기업 중심의 시장개편과 게임산업 전반의 몰락으로 갈 것이라는 예상이다.

현재 정부는 근무시간 단축안에 더해 업계 전반에 혼란을 우려해 포괄임금제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을 무기한 연장한 상태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