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정치권을 비롯한 온 나라가 들썩이고 있다. 모든 정치적 사회적 이슈를 집어삼켰다. 하지만 네이버 다음의 포털 기사 댓글 논란은 여전하다. 일명 '드루킹 사건'을 계기로 포털 기사 댓글의 폐단이 수면 위로 부상한 탓이다. 국민에게 표현의 자유를 선사한 댓글이 이제 추악한 정치놀음 수단이 됐다. 표현의 자유가 흔들린다.

포털의 댓글은 이메일, 검색, 게시판과 함께 지금의 인터넷 소통 문화를 만든 일등공신이다. PC통신 이후 본격적인 인터넷 시대가 열렸지만, 90년대까지만 해도 대한민국 국민들은 자유롭게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지 못했다. 당시 인터넷 주이용자인 20대들 역시 군사정권의 영향 하에 교육을 받아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네이버와 다음, 야후, 엠파스 등 포털 전성기가 시작된 90년대 후반부터 인터넷 게시판과 블로그가 성행하면서 소통 문화가 만개했다. 이후 네이버가 2004년부터 기사 댓글 서비스를 시행하면서 국민의 의견이 봇물 터진듯 쏟아져 나왔다. 이용자들의 참여도가 높아지면서 클릭수가 증가하고 포털 광고수익도 올라갔다. 포털은 댓글로 흥했다.

연예인 등을 비방하는 악플(악성댓글) 또한 반대급부로 사회문제를 일으켰다. 고 최진실씨의 자살 원인 중 하나가 악성댓글로 밝혀지는 등 관련 사건사고는 현재까지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선플 캠페인이 산발적으로 진행되기도 했지만 효과는 미미하다.

드루킹 사건 등 악성댓글(악플)로 인한 사회적 문제가 커지고 있다. 건전하고 바른 사회구현을 위해 댓글에 대한 이용자 의식 전환과 기업의 자정의지, 그리고 깨끗한 정치가 필요하다. (이미지=픽사베이)

그러나 댓글은 정치적 악습을 비판하고 국민의 의사를 표현하는 순기능도 있다. 이 때문에 이명박-박근혜 정권에서는 인터넷 실명제, 명예훼손죄 등으로 그 표현의 자유를 막으려는 불순한 정치적 시도 또한 있었다.

문제는 정치권에서 이러한 댓글을 악용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댓글의 위력'을 알아버린 정권과 정치인들이 댓글 공작에 적극 나섰다. 이명박 정부 시절의 국정원 및 경창 댓글공작, 그리고 드루킹 사건까지 댓글은 본연의 목적과 달리 오염됐다.

댓글 공작으로 흥했던 정치인과 정권은 결국 그 대가를 치르고 있다. 또한 댓글로 흥한 포털 역시 지금 커다란 시련과 변화의 흐름 앞에 놓였다. 네이버는 기사 댓글 제한, 다음은 어뷰징 방지 정책을 서둘러 내놓았다. 그러나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 대한 실효성 논란은 여전하다. 댓글로 흥한 포털이 댓글로 망할 수도 있다.

국민 이용자의 자유로운 의견 게시를 막을 수는 없다. 시대를 역행하는 행위다. 그러나 댓글의 폐단이 이 정도로 드러났다면 적정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건전한 댓글 문화는 지키되 그 악용의 고리는 단호하게 끊어야 한다. 기업과 단체들의 선플 캠페인 지원도 사회적으로 필요하다.

당장은 포털의 자정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 전에 깨끗한 정치가 필요하다. 마지막은 이용자들 스스로의 의식 변화다.

'악성 댓글로 이득(개인적 희열이든 정치적 노림수든)을 취한 자는, 악성 댓글로 반드시 망할 것이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