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홍하나 기자] 스마트폰 시대에 모바일 동영상 시장은 점점 커지고 있다. 특히 밀레니얼 세대가 텍스트가 아닌 동영상을 주요 콘텐츠로 소비하면서 이 시장은 더욱 주목 받고 있다.

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동영상 시장은 유튜브가 약 80%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IT기업 네이버, 카카오는 커지고 있는 유튜브의 시장 점유율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후발주자로서의 격차와 함께 각종 규제로 인한 역차별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모바일 앱 분석업체 와이즈앱에 따르면 지난 9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사용자의 총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29.7억 시간이었다. 그 중 한국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가장 오래 사용한 앱은 ‘유튜브’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튜브의 사용시간은 지난해 9월 6.7%였으나 올해 9월에는 11.5%로 급상승했다. 특히 전 연령층의 사용시간이 증가해 올해 8월부터는 카카오톡을 제친 것으로 확인됐다.

유튜브 모바일 앱 (사진=엔가젯)

이처럼 동영상 시장이 주목받는 이유는 첫째로 밀레니얼 세대가 주목하는 콘텐츠이기 때문이다. 텍스트에 익숙한 성인 세대에서는 모바일 검색 시 네이버, 다음 등 포털을 찾는 반면 현재 20대, 청소년들 사이에서는 유튜브를 주로 검색 수단으로 삼고 있다.

두번째는 동영상에 광고를 붙여 수익을 얻는 광고 사업이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구글은 국내에서 광고매출 규모를 밝히고 있지 않지만, 관련 업계에서는 지난해 유튜브의 광고 수익이 약 3천억원 이상일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네이버 카카오, 대응책 마련하고 있으나 ‘역부족’

국내 포털 기업인 네이버와 카카오는 커지고 있는 유튜브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 초 각각 동영상 서비스를 기존 서비스와 통합했다. 특히 네이버에서는 지난해 향후 3년간 동영상 콘텐츠 육성을 위해 150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힌 바 있다.

네이버는 지난 1월 미디어 플레이어와 TV캐스트를 통합한 ‘네이버TV’를 선보였으며 카카오는 지난 2월 다음 TV팟과 카카오TV를 통합해 ‘카카오TV'를 새롭게 선보였다. 특히 네이버의 경우 통합한 동영상 앱을 새롭게 내놨고, 카카오는 자사의 메신저 서비스인 카카오톡과 연계했다.

또 오리지널 콘텐츠 확보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 네이버는 올해 초부터 웹드라마 제작에 나서고 있으며 크리에이터 육성을 위해 각종 지원을 하고 있다. 카카오도 올해 초 통합된 카카오TV 서비스를 내놓으면서 대도서관, 윰댕, 밴쯔, 허팝, 김이브 등 거물급 크리에이터들을 PD로 참여시켰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이들의 대응이 “늦었다”는 평가를 하고 있다. 유튜브는 2008년부터 국내에서 처음으로 서비스를 시작해 이미 많은 동영상 콘텐츠와 유명 크리에이터 배출, 광고수익모델 마련 등 생태계 구축을 완료한 상황에서 뒤늦게 네이버, 카카오가 동영상 시장에 뛰어들었다는 것이다.

국내-글로벌 기업 간 역차별 문제 '발목', 정부가 나서야 

IT 업계에서는 국내 동영상 시장을 글로벌 기업에게 뺏길 수만 없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역차별' 문제부터 손을 봐야 한다는 것이 국내 기업들의 입장이다. 역차별 문제가 네이버, 카카오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지적은 최근 국정감사에서 가장 많이 제기됐다.

현재 네이버, 카카오는 한해 망사용료에 수십억원에서 수백억원을 통신사에 지불하고 있다. 사용자, 트래픽이 많아지고 콘텐츠의 용량이 커질수록 망사용료를 더 많이 지불해야 한다.

반면 유튜브는 해외에 있던 캐시 서버를 국내에 설치, 통신사들이 지불해야 할 국제구간 중계접속 비용 부담을 줄여준 대가로 통신사에 망사용료를 내지 않고 있다. 캐시서버란 사용자들이 자주 요청하는 콘텐츠를 사용자와 가까운 위치에 저장해 둔 서버다.

이에 이해진 네이버 전 의장은 31일 진행된 정무위 국정감사에서 “페이스북과 구글은 돈을 많이 벌면서 세금도 안내고 고용도 없고 트래픽 비용도 내지 않는다”고 말하며 국내기업과 글로벌 기업 간의 역차별에 대해 언급했다.

현재 정부차원에서도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역차별 TF'를 구성했으나 아직 본격적으로 이를 해결하는 단계는 아닌 것으로 알려졌다. 인터넷 기업 관계자는 "이번 국정감사를 계기로 정부에서 역차별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됐지만 해결하기 위해서는 입법, 행정, 과세 등 전방위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가운데)

유영민 과기정통부 장관도 역차별 문제에 대해 공감, 해결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국정감사를 통해 공식 언급했다. 유영민 장관은 국정감사에서 "국내 기업이 역차별당하지 않아야 한다는 데에 공감한다"며 "글로벌 기업들은 국내법 적용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조세 문제 등도 안고 있기 때문에 공정위나 기재부, 국세청 등 유관부처와 협력해 대안을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 이효성 방송통신위원장도 "현재 페이스북 접속경로 임의변경에 대한 사실조사를 진행하는 중이다. 사실조사 뿐만 아니라 합리적인 트래픽 관리에 대한 내용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국내기업 역차별 문제 대응방안도 함께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