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박찬길 기자] 환경부가 향후 폐차되는 전기차 배터리를 재활용해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을 구축하는 방안을 연구 중이다. 업계 반응은 다소 회의적이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환경부는 폐차될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재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용역을 자동차부품연구원에 의뢰했다. 전기차 사용자들이 향후 폐차할 때 반납받을 배터리를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연구가 주 내용이다. ESS 등 다른 분야에서 재사용하는 방안이 핵심이다.

대기환경보전법 제58조에 따르면 경비를 지원받은 저공해자동차는 천연가스차를 제외하고 폐차 시 배터리를 지방자지단체장에게 반납해야 한다. 예컨대 제너럴모터스(GM)의 ‘볼트(Bolt)’ 전기차를 사면서 전기차 보조금을 받은 사람은 향후 폐차시 배터리를 서울시에 반납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배터리 회수에 관한 제도는 반납이 전부다. 회수한 배터리 재사용 규정은 아직 정해진 바 없다.

환경부가 향후 폐차되는 전기차 배터리를 재활용해 에너지저장장치 등에 구축하는 방안을 연구중이다. 사진은 GM 볼트(Volt)배터리팩(사진=한국지엠)

환경부에서 의뢰한 용역은 이 배터리의 재활용 방안 도출에 초점을 둔다. 이 용역의 정식 명칭은 ‘친환경차 배터리 재활용 촉진 및 적정처리를 위한 제도개선’이다. 오는 12월까지 진행된다.

환경부는 용역을 통해 폐전기차 배터리 재사용 관련 기술적, 제도적 보완을 같이 맞추겠다는 계획이다. 이주현 환경부 청정대기기획과 공업사무관은 “폐전기차 배터리 처리규정은 기술적, 제도적인 부분을 같이 만들어야 한다”며 “자동차부품연구원은 현재 배터리 재활용 기술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배터리를 ESS 등 다른 장치에 적용하려면 배터리 상태 확인과 팩, 모듈에서 배터리를 어떤 장치에 어떻게 적용할지 연구해야 한다. 현재 이 분야는 아직 참조할 비즈니스 모델이 없다.

코발트⋅리튬 등 배터리 내부 소재를 분리해 재활용하는 방안은 중점적으로 다루지 않는다. 이 방안은 ESS로 재사용이 불가능한 배터리에 적용한다.

업계 시각은 다소 부정적이다. 관련 기술을 개발할 시간은 있지만 과연 실효성 있는 사업이 될지는 두고 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사업의 실효성을 좌우하는 데 가장 중요한 건 가격이다. 새 배터리를 적용한 ESS보다 저렴해야 한다.  폐전기차 배터리 ESS는 남은 에너지양을 확인하고 모델마다 다른 배터리팩, 모듈을 맞춰야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재생 ESS가 새 배터리 ESS보다 얼마나 가격 경쟁력이 있을지 아직 알 수 없다.

한 ESS업계 관계자는 “회수된 배터리 상태를 분석하고 이를 ESS로 만드는 비용과 새 배터리로 만든 ESS 제조비용에 대한 경제성을 비교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