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 소개 홈페이지 / 삼성SDS 홈페이지 캡처

삼성SDS가 구매 시스템을 전면 개편하면서 100여개에 달하는 협력사들이 직격탄을 맞았다. 

삼성SDS 시스코∙HP∙델∙EMC 등 글로벌 업체로부터 네트워크∙서버∙스토리지 등을 연간 5000억원 이상 구매한다. 서비스 및 유지∙보수를 위해 국내 업체들이 삼성SDS와 글로벌 업체 사이에 40여개 1차 파트너사가 있다. 1차 파트너사에 직간접적으로 서비스하는 2차 파트너사도 50여개에 달한다. 

올 들어 삼성SDS가 1, 2차 파트너사를 배제하고 글로벌 기업과 직거래하기로 하면서 국내 후방 사업에 상당한 파급효과가 예상된다.

삼성SDS(대표 정유성)는 지난해 말 미래전략실 감사에서 원가 경쟁력 제고를 위한 구매 시스템 재편을 주문받았다.  

삼성 그룹 계열사들이 다른 대기업보다 네트워크∙서버∙스토리지 등을 비싼 가격에 공급받는다는 이유에서다. 

미래전략실 감사에서 원가 경쟁력에 문제가 있다는 진단받은 후 삼성SDS는 1, 2차 파트너사를 배제하고 직거래한다는 구매 방침을 정했다. 

국내 협력사들은 크게 반발하고 있다. 원가 경쟁력 문제가 협력사 때문이라는 전제가 틀렸다는 주장이다.

삼성SDS 협력사 관계자는 “삼성SDS와 거래해 얻는 마진이 다른 고객사와 비교해 결코 높지 않다”며 “미래전략실의 주문은 원가 경쟁력 제고이지 협력사를 잘라내라는 것이 아니다”고 말했다. 

미래전략실에 지적한 사항에 오류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서비스 및 유지보수 비용은 인력 등 지원 규모에 따라 달라져 단순 비교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구매 직거래 전략이 원가 경쟁력 제고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분석도 나온다. 협력사들은 적은 마진과 싼 인건비로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그러나 삼성SDS가 1, 2차 파트너사의 기능을 내재화하면 인건비뿐 아니라 관리 비용이 올라갈 수밖에 없다. 환율 변동 위험도 감수해야 한다. 

1차 파트너사가 없어지면서 삼성SDS와 시스코 등 글로벌 기업간 갈등이 불거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동안 1차 파트너사들이 삼성SDS와 글로벌 기업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해왔다. 

글로벌 기업들은 파트너사가 갖춰야 할 엔지니어수와 등급 등을 까다롭게 관리한다. 물량, 가격을 보증하도록 계약을 요구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삼성SDS은 다소 경직돼 있는 글로벌 기업들을 직접 컨트롤해야 한다. 

삼성SDS 구매 방침이 바뀌면서 대다수 협력사들이 당장 인력 구조조정에 들어가야 할 판이다. 아예 폐업하는 회사도 속출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SDS 거래 의존도가 높은 협력사는 아예 매출이 없어지는 사례도 있기 때문이다.

삼성 출신 한 관계자는 “현장에서는 문제가 있는 것을 알아도 미래전략실 눈치를 보느라 반대 의견을 제시할 수 없을 것”이라며 “단기 수익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삼성SDS가 다소 무리수를 두는 모양새”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